d라이브러리
"다"(으)로 총 9,37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공간은 1천3백년 후 피렌체 성당의 돔이 완성되기 전까지 세계 최대의 실내공간이었다. 돌과 시멘트를 섞어 만든 콘크리트로 지어진 이 건물 역시 인장력을 없애기 위해 눈물어린 노력이 엿보인다. 판테온의 지붕에서 보이는 돔 구조는 아치를 1백80。 회전시켜 만든 것으로 보면 된다(그림 5).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20세기, 아니 역대 최고의 물리학자 아인슈타인. 1921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할 때 수상 업적에서 상대론이 제외됐어도, 아인슈타인은 역시 최고의 수상자로 뽑혔다. 반면 최악의 수상 ... 그러나 그런 이론이 성공하면 또다시 많은 노벨상을 낳고 베스트 3인이 갱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됐다. 샤플리스 교수는 화학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항상 이런 충고를 즐겨했다고한다.“ 항상 네자신이 분자인것처럼 생각하라. 그리고 분자는 입체적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라 ...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역할은 전철역에서 토큰을 파는 루시. 그녀는 조그마한 아파트에서 고양이와 함께 산다. 그녀의 유일한 즐거움은 매일 아침 짝사랑하는 피터가 지하철을 타러 오는 것을 보는 일이다. 어느 날 루시는 지하철 선로 위에 떨어진 피터를 발견하고는 병원으로 옮긴다. 병원으로 옮겨진 피터는 혼수상태에 ... ...
-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과학동아 l2001년 11호
- 한약으로 암을 막을 수 있을까. 그것도 서양적인 방법으로 극복하지 못한 암 전이 과정을. 하지만 최근 한방으로 암 전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다. 어떤 원리인지 알 ... 막기 위한 보조적 수단일 뿐이다. 한방 자체만으로 암세포를 정복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 ...
- 04 난치병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한의학과학동아 l2001년 11호
- 한의학과 서양의학. 수백년 동안 서로 다른 길을 걸어온 두 의학이 서로 손을 잡았다.인류 최대 난치병 중 하나인 암을 정복하기 위해서다. 한∙양방 병용치료가 어떤 원리로 이뤄지고 있는 ... 많다. 하지만 이런 노력이 쌓이다보면 언젠가는 암도 인류 앞에 무릎 꿇을 날이 올 것이다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생리·의학 - 특정 질병에 특정 치료법, 최초이자 최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현재에도 정복해야 할 질병, 암. 1926년 노벨생리∙의학상은 기생충이 암의 원인이라고밝힌 업적에 돌아갔다. 지금 보면 당연히 잘못된 수상이자 최악의 수상. 반면 1901년 노벨생리∙의 ... 신중하며, 우주와 자연 안에서 인간의 위치를 적절하게 제시하는, 그런 것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최근에 이르러 암과의 전쟁은 새로운 전환기에 들어섰다. 암세포의 생태를 지배해 온 비밀의 뚜껑이 조금씩 열리면서 좀더 근본적인 암치료의 길이 열렸다. 암세포와 직접 싸우는 재래식 전 ... 꼭꼭 숨은 암세포를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돕는다면 암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 ...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과학동아 l2001년 11호
- 투명한 가을밤엔 밝은 별이 그리 많지 않아 잔잔해 보이지만 다양한 사연을 지닌 별자리가 펼쳐진다. 하늘의 커다란 창문 페가수스자리 사각형을 길잡이 삼아 2백20만광년 떨 ... 일은 쉽지 않은데도 고대 바빌로니아, 이집트, 페르시아, 그리스 사람들은 모두 이 별무리를 양으로 보았다 ...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이뤄졌다고 믿고 있었다.그런데 정신과 육체가 본질적으로 다르다면 이 둘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게 된다. 이것이 바로 데카르트를 필두로 많은 철학자들이 고민해온 정신과 육체의 문제(mind-body problem)다.쉽게 설명하자면 ...
이전6866876886896906916926936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