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방
전면
앞쪽
표면
정면
선두
프런트
d라이브러리
"
앞
"(으)로 총 1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설사에 초콜릿이 명약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플라보노이드가 장에서 수분 손실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며 “
앞
으로 저렴하고 부작용 없는 천연 설사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유럽과 남아메리카에서는 16세기부터 민간요법으로 설사 치료에 코코아를 사용해 왔지만 지금까지 작용 원리에 대해서는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후 남은 냉동배아에서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최초로 추출한 곳이기도 하다. NIH는
앞
으로 4년 간 총 1600만달러(약 170억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 은행은 연방정부의 허가 대상에 포함된 줄기세포주를 모아 품질을 관리하고 싼 값에 연구자들에게 분배할 계획이다. 현재 위스콘신대와 호주 줄기세포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사용된다. 산과 강이 그려진 배경
앞
에서 무용수들이 춤을 추고 있다. 막을 무대 바닥
앞
쪽으로 당기며 흔들자 물결이 일렁이는 듯하다. 이번엔 아이다를 사랑하는 이집트 사령관 라다메스가 백성들에게 재물을 나눠주는 장면. 무대 위쪽에서 내려온 4개의 줄을 막 모서리에 매달고 당기자 산과 강이 ... ...
스텔스 기술(Stealth)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최근 국방과학연구소(ADD)는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무인 스텔스기를 개발 중이라며
앞
으로 한국형 전투기(KF-X)와 무인전투기에도 이를 적극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연구소는 스텔스 형상구조 기술과 레이더 전파 흡수 도료ㆍ패널 등을 개발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스텔스 기술은 항공기 뿐 ... ...
포성 없는 사이버 전장의 전략가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문제가 생겨 시스템이 다운되면 이를 해결하느라 군대 막사에서 자고 종일 컴퓨터
앞
에 붙어 있어야 합니다. 육체적으로는 힘들지만 훈련에 참가할 때면 무척 뿌듯합니다.” 박사과정 김재현 연구원의 설명이다.부대를 출입하며 군사 정보를 다루다 보니 학생들도 군사 전문가가 됐다. 한 ... ...
하룻밤에 읽는 줄기세포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유방 성형과 대머리 치료까지 가능해
앞
으로 맞춤 미용 시대가 온다.저자들은 줄기세포 연구에서 선두를 달리는 한국의 생명공학 기술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세계가 황우석 교수를 주목하는 이유, 우리나라의 연구 수준, 한국에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GALEX) 망원경으로 우주 탄생 초기에 은하와 별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볼 생각이다.
앞
으로 1년 동안은 자외선만 바라볼 작정이다.물론 틈틈이 밀리미터파도 챙기면서. 은하가 서너개 뭉쳐 있는 ‘힉슨 그룹’에 관한 한은 스페인 동료와 함께 세계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는다. 천문학이라면 이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스파이 위성을 식별하거나 공중에서 적의 미사일을 조준해 파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
으로 하와이 한국인 천문학자 3총사는 외계행성을 연구하는 데 힘을 모으려고 한다. 표 박사와 송 박사는 별 주위에서 행성이 탄생하는 먼지 원반을 관측하고 김 연구원과 송 박사는 외계에서 지구가 어떻게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따라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세슘원자시계 수준의 정확도로밖에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앞
으로 광주파수 측정 정확도가 100배 향상되면 물리학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좀더 확신 있게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글라우버 교수가 개척한 빛의 양자이론은 1963년 이래로 양자광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개체를 시베리아에서 사오고 있다. 2012년 한국도 야생 방사 계획황새복원연구센터는
앞
으로 7년 뒤인 2012년 시험방사를 목표로 황새가 서식하기 적합한 장소를 선정해 방사 기점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방사하기 충분한 수의 황새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 및 황새가 살 수 ... ...
이전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