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퀘이사가 만드는 중력 렌즈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외부 은하에서 오는 빛이 지구로 오는 길목에 질량이
큰
물체가 있다면 빛은 둘로 갈라진다. 따라서 지구의 관측자는 실제보다 확대된 두 개의 은하를 볼 수 있다.빛이 휘는 정도에 따라 렌즈 역할을 한 물체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부 은하의 ... ...
내 물리 실력 한눈에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김성원 교수는 “현재 학교에서 물리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물리라는
큰
탑을 쌓으려면 중간중간 자신의 실력을 점검해야 하는데, 물리인증제가 그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또 다른 목적은 물리 공부에 재미를 불어넣겠다는 것이다. 박병윤 충남대 물리학과 교수는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시대 성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추출했다.쥐에게 이 항체를 투여해 실험한 결과 H5N1(조류독감), H1N1(계절성 독감) 등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체를 투여한 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시킨 쥐는 80%가 생존한 반면, 그렇지 않은 쥐의 생존율은 20%에 그쳤다.연구팀은 “사람 세포에서 얻은 이 항체를 이용하면 광범위한 ... ...
약한 태풍이 센 태풍보다 더 많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태풍이 발생하는 해역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것. 다른 하나는 바다 표면 온도가 상승하면
큰
폭풍이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코랄 박사는 “온난화로 인해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갈 경우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강력한 태풍이 불 것”이라고 말했다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결합된 인공지능 기술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오세영 교수는 로봇연구의 가장
큰
걸림돌로 학문간 시너지 효과 부족을 꼽았다. 다양한 분야가 고르게 발달해야 하고 서로 유기적인 연관을 맺어야 로봇이라는 완성체가 만들어질 수 있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는 “기계공학, ... ...
상위권대 논술 공략은 필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입시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정시 올인, 혹은 수시 올인 전략이다. 수시 지원전략의 가장
큰
참고자료는 바로 평가원 수능모의고사 결과다. 수시는 현재 성적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 이상에 도전할 수 있는 ‘희망’이자, 수능 성적이 뜻대로 나오지 않았을 때를 대비한 ‘보험’의 두 가지 의미를 갖고 ... ...
판타스틱! 우주에서 펼쳐지는 마술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대성운.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약 1500년 걸리는 거리에 있다. 맨눈으로는 별로 보이지만,
큰
망원경으로 보면 나비가 날개를 펼친 아름다운 모습이다. 100개에 가까운 새로 태어난 뜨거운 별들을 포함하고 있다.20년 동안 우주의 신비를 전해 준 허블우주망원경빰빠라밤~! 오늘은 지난 20년 동안 우주의 ...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된다. 그러다 럭비공의 뾰쪽한 부분인 ‘원지점’에 다다르면 연료를 내뿜어 조금씩
큰
궤도를 그리며 돌게 된다. 이런 과정을 세 번 반복하면 드디어 고도 3만 6000㎞ 상공에서 원형 궤도를 돌게 된다. 이 때까지 약 2주가 걸린다. 정지궤도까지 가는 데만 2주가 걸린다고? 그럼 정보가 필요할 때 나도 ... ...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세워져 있다는 것도 좋은 근거가 되지. 마든헨지올해 들어 영국은 스톤헨지보다 10배나
큰
선사사대 유적지를 발굴하고 있다. 1969년 세상에 처음 알려진 마든헨지는 최근 2년간 공중 촬영 등을 통해 조사를 마치고 올해부터 발굴을 시작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세계문화유산 수학여행기 ... ...
20세기 수학의 방향을 제시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얻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제시된 문제 중 하나라도 해결하면 20세기의 수학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문제를 제시하는 이유를 밝혔대. 힐베르트는 강연 때 시간이 허용하는 대로 열 가지 문제만 발표하고 나머지 문제는 나중에 출판했어.이 강연은 민코프스키가 예상했던 것처럼 ... ...
이전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