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천
변이
변경
변질
변동
전환
변환
뉴스
"
변화
"(으)로 총 9,8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읽어주는 언니] 고양이는 야생동물일까 반려동물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먹이를 먹고 나면 원래의 울음소리로 돌아갔다. 새끼 고양이나 길고양이에서는 이런
변화
가 관찰되지 않았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으려고 후천적으로 학습한 행동이라는 얘기다. 고양이 길들이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중성화’ 때문이다. 인간이 원치 않는 임신이나 질병을 막기 ... ...
더 오래 머물고, 더 강력한 태풍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2
놓일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 과거와는 다른 태풍 온다 과학자들은 이같은
변화
를 지구 온난화 영향에서 찾고 있다. 지난달 미국 해양대기청 연구진은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인 태풍의 평균 이동속도가 점점 느려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 ...
살균효과 가진 신비의 물 원리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2
심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전기장에 따라 물의 표면 형상이 바뀌고 플라스마 특성이
변화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플라스마 처리수를 만들 때 쓰이는 플라스마의 성질도 달랐다. 물속에서 플라스마를 발생시킬 경우 물 분자와 반응해 일반적인 플라스마보다 온도가 높고 전류밀도가 큰 ... ...
日 “유전체 교정 작물은 GMO 규제 대상서 제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셀 수 없이 많이 겪어 왔다. 그에 비하면 유전자 편집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변화
”라며 “GMO도 충분히 안전하다고 믿지만 일반인들이 왜래 유전물질이 들어간 GMO에 거부감을 느낀다는 점에서 유전체 교정 식물이 GMO보다 시장 경쟁력이 높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마사시 다치카와 ... ...
[스타트업, 결정적 순간] 사용자를 인플루언서로 만들다…오드엠의 위기탈출법
2018.08.21
당장의 성공에 매몰되지 않고 늘 다음을 준비하는 게 중요한 거 같아요. 준비 없이
변화
의 순간을 맞으면 회사는 휘청일 수밖에 없어요. 당장 사업이 안 돼도 힘들지만 잘 돼도 불안할 수밖에 없고 또 그게 정상인 거 같아요. 그래서 저는 일희일비하지 않고 꾸준히 다음을 대비하는 게 가장 ... ...
트럼프가 선택한 첫 과학보좌관 “기후
변화
확대 해석 말라” 과거 발언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대해 침묵하고 있다. 이달 23일 미국 상원의회에서 청문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기후
변화
와 같은 국제적인 환경 문제에 대해 드로게메이어 내정자가 어떤 발언을 내놓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핫 하우스' 지구, 더 이상 픽션이 아니다
2018.08.21
것과 비교하면 부끄러운 ‘역주행’이다. 세계 화석연료 유래 이산화탄소 발생량
변화
추이를 나타낸 그래프다. 2004년에서 2013년까지 10년 동안 연평균 2.3% 증가율을 보이다가 2014년부터 3년 동안 정체됐지만(파란 선) 2017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 전년 대비 2% 는 것으로 보인다(빨간 선). 우리나라 ... ...
목숨을 건 연구 체험기! 아마존에서 살아남기
2018.08.20
기록해 동물의 출현 양상도 파악할 수 있다. 또 반복적으로 관찰하면서 다양성의
변화
도 알아낼 수 있다. 아마존 체험기 독자분들께... 아마존에 한 번 발을 들이면 영원히 사로잡히게 된다... 칠레의 작가이자 환경운동가였던 루이스 세풀베다의 말이에요. 저도 이미 아마존의 매력에 영원히 ... ...
“우리 힘으로 세계 비핵화에 기여를”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핵물질의 양과 동위원소비를 분석하는 ‘총량분석’ △시료에 중성자를 쏜 뒤 입자의
변화
를 통해 핵물질의 존재를 파악하고 재처리 여부를 알아내는 ‘열이온화질량분석(TF-TIMS)’ △세슘 등 물질을 시료에 쏴 후속 반응을 통해 핵물질 및 동위원소비를 찾는 ‘이차이온질량분석(SIMS)’이다. IAEA ... ...
밀 알레르기 없이...짜장면-빵 마음껏 먹자!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연구팀은 유전자 전체를 목록으로 만들었다. 또 변이가 생길 경우 기능이나 형태에
변화
가 일어나는 DNA 염기를 400만 개 찾아 목록으로 만들었다. 이들 정보는 나중에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를 이용해 유전자를 교정해 원하는 특징을 가진 밀을 만들 때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 ...
이전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