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뉴스
"
보고
"(으)로 총 10,77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보사 방사선 처리 권고했다지만…해소되지 않는 성분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승인 받을 당시와 성분이 다른 것으로 밝혀져 판매 중지된 국내 첫 유전자치료제 '인보사'. 코오롱생명과학 제공 코오롱생명과학이 유전자치 ... 위해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의약품의 성분에 문제가 있었던 만큼 식약처에 즉각
보고
하지 않았던 데 대한 비난 역시 피하기 어렵게 됐다 ... ...
코오롱, 인보사 문제 언제 알았나…식약처 "2월말인듯"(종합)
연합뉴스
l
2019.04.10
중지했다. 이와 관련 식약처 역시 코오롱생명과학으로부터 3월 22일 첫 중간 결과를
보고
받았는데도 불구하고 열흘 가까이 함구해 불신을 키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
[이정아의 미래병원]스마트병원이 진짜 똑똑해지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미래'
보고
서에서 현재 전세계 의료 관련 데이터가 최소 150EB(엑사바이트)라고
보고
있다. 1엑사타이트는 기가바이트(GB)의 약 10억 배다. 또 다른 고민거리는 종이차트와 X선 촬영 필름이 사라지는 일이 오히려 불편한 환자도 많다는 사실이다. 병원 관계자들은 내원하는 환자 대부분이 고령이며 ... ...
심뇌혈관질환자 6명 중 1명은 '과로한 당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지나치게 많이 일하면 심뇌혈관질환과 정신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나치게 많이 일하면 심뇌혈관질환과 정신질환이 발생할 확 ... 스트레스나 직장 내 괴롭힘 같은 '감정노동' 역시 과로의 요소로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보고
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이들은 신경절세포 미토콘드리아에 NAD+라는 물질이 부족한 게 원인이라고
보고
그 전구체인 비타민B3(니코틴아마이드)를 투여하거나 유전자치료로 NAD+를 만드는데 관여하는 효소인 Nmant1의 유전자를 넣어줬다. 그 결과 늙은 생쥐에서 녹내장 발생률이 낮아졌고 아울러 안압도 떨어졌다. ... ...
파리가 얼룩말 줄무늬
보고
도망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9.04.09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일반 말에 얼룩말 줄무늬 옷을 입힌 뒤 몸에 붙는 파리의 수를 조사하고 있다. Tim Caro, UC Davis 제공 얼룩말의 줄무늬가 파리를 쫓아내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전에도 파리가 줄무늬를 싫어한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그 이유가 밝혀진 건 처음이 ... ...
아마존, 위성 인터넷 시장 선점 위해 전 스페이스X 부사장 영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위성 틴틴A와 B를 발사했다. 스페이스X측은 2020년 상반기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바딜 전임부사장은 스타링크 부서를 이끌던 인물로 틴틴A와 틴틴B 발사를 담당했다. 하지만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는 성과부진을 이유로 채용 4개월만인 지난해 6월 바딜 부사장을 ... ...
철새가 야생진드기 옮긴다?…베트남서도 SFTS 환자 첫 발생
연합뉴스
l
2019.04.08
2009년 중국에서 처음 환자가
보고
된 이후 2013년에 한국과 일본에서 첫 환자가 잇따라
보고
됐다. 하지만 이들 3개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 중에는 지금까지 SFTS 환자 발생 사례가 없었다. 연구팀은 SFTS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해 환자의 혈청에서 리보핵산(RNA)을 분리한 후 유전자 검사(RT-PCR) ... ...
팝콘 같은 돌멩이
팝뉴스
l
2019.04.07
가장 맛있어 보이는 돌”이라 평가한다. 일부 네티즌은 팝콘도 닮았지만 돌을
보고
는 눈송이인 줄 알았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얀색의 아주 아름답다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나노입자 원하는 곳으로...DNA 이용 초미세 이동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사이의 정전기를 세밀하게 조절하면 입자를 원하는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고
보고
계산을 통해 DNA가 나노입자를 잘 끌어당기는 조건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DNA에 유연성이 증가하는 구간을 반복 합성했다. 유연성이 증가하면 나노입자와의 결합력이 높아졌다(결합에너지 감소). 이를 ... ...
이전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