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뉴스
"
우주
"(으)로 총 7,472건 검색되었습니다.
몽골에 한국 하늘 감시하는 ‘매의 눈’ 설치
2014.09.23
우리나라 연구진이 하늘에 떠 있는 인공위성을 망원경을 이용해 감시하는 ‘
우주
물체 전자광학 감시시스템’을 몽골 울란바토르 인근 지 ... 늘어날수록 인공위성이나 운석 추락 등
우주
물체의 경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우주
위험 대비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굿바이 나로과학위성’ 나로호 탑재체, 4월
우주
미아 됐다
2014.09.23
거론되는 펨토초레이저 실험 장비를 나로과학위성에 탑재한 김승우 KAIST 교수는 “
우주
에서 펨토초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한 건 나로과학위성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팀은 이 결과를 ‘사이언티픽 리포트’ 5월 30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나로과학위성은 통신 두절 상태로 계속 ... ...
내년 정부 R&D 예산은 18조8245억 원
2014.09.22
신규 투자될 계획이다. 특히 미래부는 미래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바이오·나노 분야와
우주
·원자력 분야에 1조3147억 원을 투입한다. 한국형발사체 사업 예산은 2550억 원으로 올해보다 200억 원 늘었으며,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에 올해보다 208억 원 늘어난 1654억 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기초연구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안정한 탄소는 탄소12로 탄소원자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대기권에 고에너지의
우주
선(cosmic ray)이 들어오면서 생성된 중성자가 질소14와 핵반응을 일으켜 탄소14와 양성자로 바뀐다. 수천 년, 수만 년의 기간으로 보면 이 반응은 거의 일정하게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탄소14는 불안정한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영화 속 뒤뚱거리는
우주
인의 걸음걸이에 대한 고찰
2014.09.21
영화관 곳곳에서 들려왔을지도 모르겠다. 향후 달을 탐사하는
우주
비행사가 새로운
우주
비행복을 입고 사뿐사뿐 걷는 모습을 보여주기 전까지는 영화에서도 전처럼 뒤뚱거리는 모습으로 묘사하는 것이 나을지도 모르겠다. ... ...
음속 20배
우주
쓰레기 2만3000개 피하는 법
2014.09.19
한국항공
우주
연구원 위성관제센터 연구원들이 중앙관제실에서 우리나라 인공위성의 충돌 위험성을 확인하고 있다. 중앙의 푸른 지구 주변으로 빛나 ...
우주
파편을 추적해 위성의 회피기동을 돕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우리나라도 2021년
우주
쓰레기 감시용 레이더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 ...
초파리가 연구에 도움 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9.17
고 교수는 초파리를 통해 밝힌 사람의 몸속에서 일어나는 생명현상에 대해 설명하고,
우주
생물학 및 질병 치료 연구 등 초파리 연구가 응용되고 있는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본 강연에 앞서 ‘ 달 이야기’를 주제로 오천영 이사벨중학교 교사가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 ...
'토성을 품은 달'…오는 28일 토성 엄폐현상 일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9.16
순간은 오후 1시 7분 달의 우측 중앙에서 관측 가능하다. 한편, 국립고흥청소년
우주
체험센터는 토성 엄폐현상을 맞아 '달과 토성의 숨바꼭질'이라는 주제로 보들 별잔치를 개최한다. 보들 별잔치에서는 토성 엄폐현상 관측을 비롯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외계행성 연구에 대한 강연도 진행된다. ... ...
한의학연 원장 재공모 “전통의학 연구 차질”
2014.09.15
현재 국내 출연연 중 기관장 공석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은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항공
우주
연구원 등으로 한의학연 역시 원장 공석이 장기화 될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초과학 육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중이온가속기사업단 단장 역시 얼마 전 재공모에 들어갔다. 일각에서는 신임 원장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우표 속 세상, 사라져가는 과학기술
2014.09.15
‘생명과학’ 최우수작에 선정된 김동민 군의 작품을 담은 우표가 선보였다. 당시 ‘
우주
과학’ 최우수작인 인도 라디카 카크라니아의 작품을 담은 우표도 함께 발행됐다 . 안타깝게도 최근 들어서는 과학기술계를 대변하는 우표 발행 건수가 줄고 있다. 2008년 남극 세종과학기지 20주년을 맞아 ... ...
이전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