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 방법의 장점은 대량의 단백질을 대상으로 그 결합 여부(X와 Y가 결합하는지)를 한
눈
에 알아볼 수 있다는 점이다. X와 Y에 해당하는 단백질은 종류와 숫자를 얼마든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각각 DBD와 AD에 붙여 한번에 반응시키면 단백질의 종류에 따른 결합 여부를 배지의 색깔변화로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연주하는 악기로 남게 됐다.나시계 군은 한소리 양의 핸드벨 연주를 들으면서 지긋이
눈
을 감고 수백년 전 사람들에게 시간을 알리기 위해 열심히 핸드벨을 울리며 연습했을 어느 종치기를 상상했다.뮤직박스, 시간을 선물하세요기다리던 둘만의 크리스마스 저녁. 나시계 군은 한소리 양에게 선물로 ... ...
해리포터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해리포터 사이언스’는 해리포터라는 마법 이야기 속 과학을 찾아내 현실 세계로
눈
을 돌리게 만든 책이다. 12가지 주제를 통해 마법과 과학이 얼마나 가깝고 또 얼마나 먼 것인지를 알려준다. 그러면서도 저자들은 이 책이 따분한‘과학책’이 아니라, 재미있는 ‘이야기책’으로 읽히기를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개 주제로 정리한 네이처는 사이언스와 거의 비슷한 시각을 보였으나 ‘특이한’ 주제도
눈
에 띄었다.네이처는 2002년 9월 벨연구소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사건을 가장 먼저 선정했다. 또한 2002년 9월초 폐막된 요하네스버그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 소식에 맞춰 인류의 미래를 ... ...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금성보다 2백50배 밝은 조연양 머리의 모습을 한 성운 N30B를 가만 들여다보면 제일 먼저
눈
에 띄는 것이 바로 하얀빛이 도는 푸른 별무리다. 젊고 뜨거운 별들이 성운(먼지와 가스로 이뤄진 성간구름)에서 무리지어 태어나면서 우연히도 양의 모습을 빚어낸 것이다. 잘 보면 별무리 주변의 성운 역시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데뷔한 개 역시 러시아산이었다. 러시아의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 박사는 위액분비를
눈
으로 관찰하려고 개의 소화기에 창문을 다는 다소 괴이한 실험을 통해 소화의 메커니즘을 밝혀내 1904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파블로프는 이어 밥을 줄 때마다 종을 울리면 개가 종소리만 듣고도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눈
을 쪼아댔고 무기도 가져다줬다. 바실리스크에게 물린 해리 포터의 상처를
눈
물로 치료해 준 후,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 사용한다는 덤블도어 교장 선생님의 말을 증명하듯 해리 포터와 지니를 집고 날아오른다.신화 속의 불사조 역시 매우 힘이 센 것으로 알려졌다. 고대의 불사조는 아버지 ... ...
A4용지의 변신 2가지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지각한다.이 실험에서 손등에 구멍이 뚫려 보이는 까닭은 왼쪽
눈
에 비친 왼손과 오른쪽
눈
에 비친 원통의 구멍을 통해 본 영상이 겹쳐져 지각됐기 때문이다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개 또는 그 이상의 유전자가 관계하고 있는 경우 각 유전자를 말한다초파리에서는 흰색
눈
을 나타내는 유전자는 붉은색을 나타내는 유전자에 대해 대립 유전자이며 열성이다그 외에 같은 유전자 자리에 있는 에오신 유전자는 흰색에 대해 우성이고 붉은색에 대해 열성이다물체의 온도에 따라 물체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펼쳤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셀레라는 DNA를 수천만개의 조각으로 무작위로 나
눈
뒤 염기서열을 읽어 조합하는 샷건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했다. 이를 위해서 독자적인 알고리듬을 개발해 슈퍼컴퓨터에 적용시켰다. 바이오인포매틱스의 효과적인 사용으로 시간을 대폭 줄인 것이다. ... ...
이전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