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뿐만 아니라 색깔을 구별하는
눈
의 원추세포가 어두운 밤에는 둔해지기 때문에 사람의
눈
은 성운의 색깔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성운은 사진처럼 붉게 보이지 않는다. 반면 사진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성운의 빛을 받기 때문에 붉은색이 드러난다.그럼 오리온대성운은 어떻게 보일까. 다만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데뷔한 개 역시 러시아산이었다. 러시아의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 박사는 위액분비를
눈
으로 관찰하려고 개의 소화기에 창문을 다는 다소 괴이한 실험을 통해 소화의 메커니즘을 밝혀내 1904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파블로프는 이어 밥을 줄 때마다 종을 울리면 개가 종소리만 듣고도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눈
을 쪼아댔고 무기도 가져다줬다. 바실리스크에게 물린 해리 포터의 상처를
눈
물로 치료해 준 후,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 사용한다는 덤블도어 교장 선생님의 말을 증명하듯 해리 포터와 지니를 집고 날아오른다.신화 속의 불사조 역시 매우 힘이 센 것으로 알려졌다. 고대의 불사조는 아버지 ... ...
A4용지의 변신 2가지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지각한다.이 실험에서 손등에 구멍이 뚫려 보이는 까닭은 왼쪽
눈
에 비친 왼손과 오른쪽
눈
에 비친 원통의 구멍을 통해 본 영상이 겹쳐져 지각됐기 때문이다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파악할 수 있다. 질량분석기는 대량의 단백질을 고효율로 동시에 분석할 수 있으며,
눈
에는 보이질 않을 정도의 아주 미세한 양만 있어도 분석이 가능하다. 현재의 첨단 질량분석기를 이용하면 10펨토몰(femto mole, 10-15mole) 양의 수백개 단백질을 1주일 내에 분석할 수 있다. 과거에는 이 같은 양을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추위와 싸우며 발사 시험을 준비했던 60여명의 연구원들과 기술자들의
눈
에서는 조용히
눈
물이 흘러내렸다. 우리 액체로켓 KSR-Ⅲ는 처녀 비행인데도 불구하고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정확하게 예정된 궤도를 따라 비행했다. 토종 액체로켓은 고도 42km까지 상승하며 80km의 거리를 성공적으로 비행한 ... ...
월드컵 하늘에 방패연 띄운 다윗 - 류춘수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모르게 된다고 안타까워했다.자연 살리는 건축 해야그는 건축을 과학이나 예술의
눈
으로만 봐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건축은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건축을 과학만으로 또는 예술만으로 보려고 하면 사람이 없는 건축물이 나온다고 말했다.그가 설계한 서울 강남 ... ...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장단에 따라 식물의 꽃
눈
형성이 달라지는 현상벼 코스모스 담배 국화 등과 같이 꽃
눈
형성을 위해 일정 시간 이상으로 밤이 길어야 하는 식물어떤 물건의 안이나 밖을 다른 물건으로 덧바르거나 붙이는 등으로 피복해서 표면을 보호하는 일 또는 자동차의 제동장치에서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철제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펼쳤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셀레라는 DNA를 수천만개의 조각으로 무작위로 나
눈
뒤 염기서열을 읽어 조합하는 샷건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했다. 이를 위해서 독자적인 알고리듬을 개발해 슈퍼컴퓨터에 적용시켰다. 바이오인포매틱스의 효과적인 사용으로 시간을 대폭 줄인 것이다. ... ...
5백년만에 드러난 숨겨진 화가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영국 국립미술관의 복원팀은 적외선을 이용해 이 스케치들을 복원했습니다. 사람의
눈
은 파장이 4백nm-7백nm(1nm는 10억분의 1m)인 가시광선의 빛에만 자극을 받는 시세포를 갖고 있습니다. 그림을 보면 바로 이 가시광선이 각종 색깔의 물감에 반사돼 우리의 시세포를 자극합니다. 그런데 적외선은 ... ...
이전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