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맡고 기억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는 데 토대가 될 수 있다.후각은 인간이 갖고 있는
약
3만개의 전체 유전자 중 3%에 해당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후각 유전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작동하지 않는 유전자’ 라고 한다. 인간이 두 발로 서게 되면서 후각보다는 시각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됐고 결과적으로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
약
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우리는 아플 때 병원을 찾아가 주사를 맞거나
약
을 처방받는다. 그러나 우리 몸에 들어간
약
이 어떤 과정을 거쳐 건강을 회복시키는지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 ... 시대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
약
품 만든다 4. DNA로 나노벽돌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과정을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끝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상대적으로 좁은 국토면적과 빈
약
한 부존자원을 지닌 우리의 상황을 고려할 때 작고 번식력 강한 곤충은 그만큼 경쟁력 있는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무당거미의 행동습성에서 착안된 아라자임처럼 일상의 작은 관찰에서도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모두 진짜 화석이다.맘모스 화석은 북동부 시베리아 투펜 지역에서 발견된 것으로
약
7만5천-10만년전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높이는 3.5m, 길이는 5.3m다. 상아 하나가 어른보다 무거운 85kg이며 전체 뼈만 해도 9백kg에 달한다. 불곰보다 30%나 큰 동굴 곰은 남부 유럽에서 번성한 동물이다. 풀, 산딸기, ... ...
마당과 대청마루에도 생태학은 숨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되는 것이다. 이 교수는 유체역학의 원리를 이용해 전통가옥의 마당과 대청마루에
약
4℃의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밝혀냈다.이 교수는 올바른 생태학은 자연과 그 속에 사는 인간의 모습까지 모두 담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이 만든 구조물과 사람의 행위까지 포함한 연구라야 제대로 된 ... ...
인간 유전자 수 파리와 엇비슷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10년 전만 해도 과학자들은 인간 유전자수를
약
10만개로 추산했으나 인간게놈지도가 완성되면서 3만개 수준으로 떨어졌다.이번 발표로 고등동물이 더 많은 유전자를 갖고 있다는 믿음이 더욱 흔들리게 됐다. 유전자 수로 볼 때 파리가 2만여개에 달하고, ... ...
상업 우주관광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4분간 무중력상태를 체험할 수 있는 2시간짜리 상업용 로켓여행상품(1인당 19만달러,
약
2억1천8백50만원)을 2007년부터 판매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민간의 우주비행은 1인당 2천만달러(
약
2백30억원)의 거액을 내야 했던 러시아의 우주선 소유즈호 우주관광이 전부였다. 한국에서도 최근 주부와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괴질 확산으로 정신이 없는 의사 돌레프는 새로운 환자가 들어왔다는 호출을 받고 응급실로 달려갔다. 응급실에는 30대 초반의 한 남자가 온몸에 경련을 일으키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
약
품 만든다 4. DNA로 나노벽돌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피하란 얘기다. 실험동물의 태자로 만든 인공태반시스템을 이용하면 모체와 태아 간에
약
물이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나아가 기형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이나 장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연구하는데도 활용 가능하다.사실 인공태반의 체외순환은 새로운 기술이 아니다. 수십년 전부터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일어난다. 이 같은 식품 알레르기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 인구의
약
10%가 경험하고 있다.필자의 연구팀은 달걀 흰자위의 주요 단백질인 난백 알부민이 체내에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도록 처리했다. 그리고 실험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난백 알부민을, 다른 한 그룹에는 난백 ... ...
이전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