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지가지
갖가지
제반
모든것
각반
각종
d라이브러리
"
여러가지
"(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고(最古)의 날짐승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도마뱀이다. 그것은 턱에 이빨을 가진 도마뱀 머리를 하고 있고, 긴 꼬리와 그 외
여러가지
를 가지고 있다. 깃털이 앞발과 꼬리를 따라 덮고 있지만 시조새가 현대적 의미로 날 수 있었는지는 매우 의심스럽다. 오늘날 나는 새들은 모두 흉골에 날 수 있는 강인한 근육을 붙여 놓은 용골돌기를 가지고 ... ...
대자연과 인체의 합창같은 매력에 끌려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수많은 갈등을 잠재우며이같은 시점에서 한의학을 연구하고 후학을 가르치는 나는
여러가지
번뇌에 사로잡히곤 한다. 모든 게 잘 갖추어진 환경에서 다른 데 신경쓰지 않고 오직 학문의 길로만 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여기서 학문의 길은 갈등을 만들어 내었다.학문의 길로 접어든지 10여년 ... ...
컴퓨터에세이② 인공지능과 바벨탑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있기에 컴퓨터 스스로의 운명은 바뀌어지지 않는다.그러나 가정해보자. 컴퓨터에게
여러가지
선택의 경우를 부여하고 그것을 설계한 디자이너의 의도는 전혀 개입시키지 않은 채 컴퓨터 스스로 확률적으로 그 결과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의지의 알고리즘(어떤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 ...
왜 빛을 내는가? 그 결과로 무엇을 얻고 잃는가? 여름밤의 영롱한 빛 반딧불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곤충의 여러 습성중에서 가장 쉽게 연구할 수 있는 것이 반딧불의 통신수단이다. 간단한 펜라이트와 노트만 가지고 들에서 며칠 저녁을 지내보면 몇 가지 재미있는 사실들을 관찰하게 될 것이다.우선 비행중인 숫컷이 내는 섬광유형에 따라서 반딧불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펜라이트(Pen ... ...
컴퓨터와 인간두뇌 뉴런컴퓨터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인간의 두뇌를 닮은 컴퓨터를 꿈꾸기 전에 먼저 두뇌에서 진행되고 있는 복잡한 정보처리과정의 원리가 밝혀져야 한다.사람들은 인간의 두뇌가 지니고 있는 잠재력을 실감 못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는것 같다. 흔히 머리가 좋은 사람을 가리켜 '컴퓨터'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마치 성능이 뛰 ... ...
혈관을 넓혀주는 형상기업합금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온도가 되면 정해진 어떤 형태가 되는 형상기억합금은
여러가지
분야에서 응용이 되고있으나 의학분야에서는 심근경색치료에 시도되고 있다.이 연구를 시도하고 있는것은 일본도쿄 '지케이라이' 의과대학 심장외과의 '아라이다츠다'교수팀.심근경색은 동맥경화로 심장에 영향을 보내는 관상동맥이 ... ...
미국과 일본의 하이테크경쟁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미국과 일본은 하이테크 세계를 양분하는 실세이다. '창조'의 미국과 '응용'의 일본은 경쟁적이면서 또한 서로를 필요로 하는 단계에 와있다.86년 말 미국의 경제지 '포춘'은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각분야별 전묵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미국 일본 서유럽 소년 등의 '하이테크레이스'(high-tech race)를 특 ... ...
대형의 아동과학전집류 붐 이뤄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달팽이의 비밀' '소금의 수수께끼' '행성탐험' '사막의 세계' 등 주로 동식물 세계의
여러가지
현상과 자연계의 이모저모를 보여주는 내용들로 구성돼 있는데, "예술사진을 방불케 하는 뛰어난 사진과 평이한 문장 그리고 자연과학의 현장을 실제로 체험하도록 이는 혁신적인 교육방법"이라는 게 ... ...
국제수학올림피아드출전팀 수학공부의 요령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최초 참가임-사상 처음으로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제29회대회에 참가하게 됐읍니다. 여기 모인 학생들이 한국을 대표하는 6인조로, 최종선발된 수학선수들입니다. 이들이 선발된 과정은 참으로 험난했읍니다.우선 전국 고등학교에 의뢰하여 3~5명씩 추천을 받았읍니다. 전부 ... ...
아쉬운것 ·잃는것·그늘진것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중학교 시절만큼은 예외였다. 그 땐 새록새록 알아가는 기쁨을 맛보는 것이 좋았다. 더욱이 왕성한 지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 정도로 시간적 여유도 중분했다. 비록 여고 시절을 '공부때문에 아무 것도 못한 학생'으로 지냈지만 적어도 중학교 시절은 그렇지 않았다는 얘기다.한마디도 알찬 ... ...
이전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