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스페셜
"
결과
"(으)로 총 7,207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이 인간을 대체할 수 있을까?
KISTI
l
2014.01.29
미군 순양함의 레이더 시스템이 이란의 여객기를 전투기로 오판하여 공격한
결과
탑승자 290명 전원이 사망한 일이 있었다. 2007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자율형 방공포가 훈련 중 갑자기 제멋대로 총탄을 난사해 9명이 사망하고 14명이 중상을 입는 사고가 있었다. 현대의 자율형 로봇은 통제를 ... ...
황우석을 바라보는 두 시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황 박사가 2004년 주장했던 인간 복제배아줄기세포 확립에 마침내 성공했다는
결과
를 발표했다. 미탈리포프는 ‘네이처’에 “황 박사에 대해서는 별로 할 말이 없다. 그의 인간 체세포핵이식 연구는 별다른 정보도 없고 나에게 전혀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말했다. 120여 명의 여성들은 헛되이 황 ... ...
[채널A] 육류 섭취 중단…장속 ‘건강 혁명’
채널A
l
2014.01.22
수 있습니다. 실제로 체중도 한 달 반 만에 3kg 감소했습니다. 지난 달 네이처에 실린 연구
결과
에 따르면 장내세균 작은 변화는 5일 만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비만감소 효과를 높이려면 개선한 식습관의 유지가 중요합니다. [인터뷰 : 오범조/서울시 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예전의 ... ...
조류독감바이러스, H5N8과 H7N9의 경우
동아사이언스
l
2014.01.20
육군묘지에 묻힌, 당시 독감으로 죽은 군인의 사체에서 바이러스 시료를 얻어 분석한
결과
H1N1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사람 간 감염성을 획득해 일어난 것이라는 사실을 2005년 밝혔다. 1957년 유행해 70만 명이 사망한 아시아독감도 H1N1 인간독감바이러스와 H2N2 조류독감바이러스가 돼지에 동시감염 돼 ... ...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KISTI
l
2014.01.16
최인호 교수 연구팀도 T1AM이라는 물질을 쥐에게 주입하면 겨울잠에 빠진다는 연구
결과
발표한 적이 있어요.” “덜덜덜…. 진짜인가보다. 말 안 듣고 시끄러운 어린이들 이제 다 끝장났어요.” “헤헤, 당연하지! 자, 어떤 형태의 겨울잠을 재워줄까? 변온동물인 개구리형? 날이 추워지면 간에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41% 늘었고 수분량이 2.7% 줄었다는 내용이다. 커피가 탈수를 일으킴을 ‘입증’한
결과
다. 2000년 발표된 논문은 하루 두 잔 커피를 마신 피험자와 물을 마신 피험자를 비교했을 때 차이가 없었다는 내용이지만 데이터가 좀 부실했다. 영국 버밍엄대의 연구자들은 커피와 체내 수분 유지의 관계에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빛이 과립에 산란돼 튀어나가고 긴 파장 빛은 통과해 상피세포층에서 흡수된다. 그
결과
눈이 파랗게 보인다. 이런 현상을 틴들 산란이라고 부른다. 흔히 스킨이라고 부르는 화장품 가운데 반투명한 형태를 보면 푸르스름하게 보이는데, 역시 틴들 산란 때문이다. 홍채는 사람뿐 아니라 다른 ... ...
2014 갑오년 기념, 말의 진화 이야기
KISTI
l
2014.01.06
게놈상에서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를 파악하는데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다행히 게놈분석
결과
프르제발스키 말의 게놈에 가축화된 말의 게놈이 유입된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과거 몽골에서도 가축화된 말과 피가 섞이지 않았고 사람에게 잡혀 동물원으로 팔려와 수 세대가 지나 다시 몽골 ... ...
한국의 ‘김장문화’, 인류무형유산 등재!
KISTI
l
2014.01.06
유래 유산균인 ‘락토바실루스 플랜타룸 CHLP133’이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
등 김치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김장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가 김치의 과학적인 우수성을 전 세계에 다시 한 번 인식시킬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하길 기대해 본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대준 대중의 몫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는 평소 시료와 세포주, 실험데이터 등 모든
결과
물을 공유한다는 철학을 행동으로 실천했다. 그에게 중요했던 건 자신이 업적을 내는 게 아니라 과학이 좀 더 빨리 진보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21. 애드리엔 애쉬 (1946. 9.17 ~ 2013.11.19) 장애인의 권리를 ... ...
이전
687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