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도토리, 죽은 나무껍질과 매미 탈피각과 버섯 등을 붙이고 색연필과 색종이, 사인펜 등으로 멋지게 장식했어요. 대원들이 직접 스티커를 붙여 투표를 했는데, 모두 멋진 작품을 만들어 우열을 가리기가 힘들었답니다.캠프에 참가한 곽수진 학생(라이노비틀즈팀)은 “도토리거위벌레도 보고 다친 ... ...
- Part 1. 단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심심찮게 상괭이의 사체가 발견되곤 해요. 2011년에는 1012마리, 2012년 2279마리 등 죽은 상괭이가 꾸준히 발견된 거예요. 이들은 대부분 우연히 그물에 걸리거나 길을 잃고 해안가로 떠밀려온 것들로, 유통증명서를 받으면 식용으로 판매할 수 있지요. 하지만 이런 제도를 악용해 상괭이를 불법 ... ...
- Part 5. 상괭이 떼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나타났어요!“이 정도면 100개체 이상은 될 거예요.”연구원의 설명처럼 살짝 드러나는 등으로는 숫자를 어림잡을 수 없을 만큼 많은 상괭이가 보였어요. 새끼와 함께 유영하는 엄마 상괭이부터 놀이를 하는 듯한 상괭이 가족까지 모두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처럼 보였지요.이규성 팀장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중력도 다른 데 보다 커요. 바다에서는 해류나 밀물, 썰물로 인해 바닥에 언덕이나 계곡 등이 만들어지면서 중력의 차이가 생긴답니다.그럼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중력의 차이는 누가 어떻게 잴까요? 그 주인공은 바로 지구 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이에요. 가장 최근 공개된 중력장 지도를 만든 ...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들어오는지 관찰해요. 또한 수십 년 동안 상괭이를 봐온 어민들을 찾아가 증언을 모으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죠. 올해 말쯤엔 상괭이 다큐멘터리와 동화책도 펴낼 계획이랍니다. 상괭이를 살리는 ‘상괭이 병원’부산 아쿠아리움에서는 2011년부터 다친 상괭이를 치료하는 ‘상괭이 병원’을 ... ...
- [현장취재 ➋] ‘마인크래프트 코딩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교육을 수료하고 인증서를 받기 위해서는 지정된 장소에서 나무를 캐거나 집을 짓는 등 14가지 미션을 끝내야 해요. 이때 중요한 점은 여러 일을 한꺼번에 시킬 수 없다는 거예요. 한 번에 하나의 움직임만 할 수 있지요.예를 들어 알렉스가 앞으로 3칸 이동 후 왼쪽으로 돌아 나무를 캐게 하려면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둥글게 갈아 만들었다는 의미에서 ‘둥글다’는 뜻을 갖고 있지요. 배구와 축구, 야구 등 공을 이용하는 운동 경기 이름에 ‘구’가 들어간 것도이 때문이랍니다.‘집 우(宇)’는 집을 뜻하는 ‘갓머리(宀)’에 소리를 나타내는 ‘어조사 우(于)’가 더해진 글자로, 집의 처마를 의미해요. 크게 ... ...
- [헷갈린 과학] 망고 vs 파파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줄기 속은 비어 있답니다. 열매는 공 모양, 달걀 모양, 망고처럼 길쭉한 달걀 모양 등 다양해요. 크기 역시 20~40cm로 다양하지요.파파야 열매는 처음엔 초록색이지만 점차 익으면서 껍질이 노란색으로 변해요. 과육은 완전히 익으면 진한 노란색, 또는 주황빛에 가까워요. 그래서 열매를 언뜻 보면 ... ...
- [쇼킹 사이언스] 바다 속에서 별이 반짝반짝~! 야광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한 걸까요?몰디브 바드후 섬이나 푸에르토리코의 모스키토베이, 자메이카의 몬테고베이 등에는 밤에 푸른 빛을 내는 바닷물이 있어요. 특히 밀려오는 파도의 끝부분은 바닷물 속에 별이라도 있는 것처럼 반짝이지요.물 속에서 반짝이는 건 사실 별이 아니라 플랑크톤이에요. 플랑크톤 중에서도 ... ...
- Part 3. 인간이 원하는 대로 개성있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탄생하게 됐답니다.몰티즈도 마찬가지예요. 아주 오래 전 몰티즈는 흰색과 갈색, 검정색 등 다양한 색 털을 갖고 있었어요. 그런데 19세기 초반의 사람들은 흰색 털을 가진 동물이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믿었어요. 그래서 흰색 털을 가진 몰티즈만 골라 선택적으로 교배시켰지요. 그 결과 현재 ... ...
이전6886896906916926936946956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