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도 감정을 느낀다
과학동아
l
199809
사랑과 정성으로 키운 것과 미움과 무관심으로 키운 것은 잎사귀의 색깔부터가 달랐다.
교수
님이 가져 오신 화분 두 개가 식물에게도 감정이 있다는 것을 여지없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들도 인간과 마음이 통하는 살아있는 생명체인 것이다. 하루쯤 놀다오는 피서지로만 생각했던 숲이 사람과 ... ...
Ⅰ 네개의 팔로 온갖 조화 부린다
과학동아
l
199808
도로를 지나가는 수많은 자동차를 본 적이 있다. 오늘날처럼 휘발유로 가는 자동차가 개발된지도 1백여 년이 지나 빠르기나 편리함은 물론이고 디자인에서도 많은 변화를 거듭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유독 변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그것은 바로 자동차의 타이어색. 색상과 디자인이 다양한 자 ... ...
석유는 동물 유해에서 생긴 것일까?
과학동아
l
199808
퇴적돼 석유가 생성됐다는 기존의 학설에 의구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미국 코넬대학
교수
인 골드와 소타는 천연가스와 석유가 지구의 심층부에서 상승해 유전과 가스밭에 축적됐다는 새로운 학설을 발표했다.행성 내부에 대량의 탄소공급원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목성이나 금성의 예를 통해 추측할 ... ...
인터넷 여행정보
과학동아
l
199808
것 같은 역사를 재미있게 풀어놓았다.특히 주목할 만한 곳은 답사여행 길잡이. 유홍준
교수
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일부로 시작하는 이 코너는 우리나라 방방곡곡의 문화유적지를 지도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게 구성한 '우리문화 답사', 답사여행을 떠날 때 알아야 하는 기초상식을 모아 둔 '길잡이 ... ...
입체화되는 환경공학
과학동아
l
199808
그렇다면 다이옥신이 세포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류
교수
는 왜 이전에는 이런 연구에 매달리지 않았을까. 한가지 이유는 막상 다이옥신에 대해 관심을 가져도 화학분석법으로 산출된 기초 데이터가 없었기 때문에 연구에 손을 댈 엄두를 못낸 것이 사실이었다. ... ...
대통령 과학자문 도맡은 노벨상 수상자
과학동아
l
199808
현재까지 노벨상을 두번 받은 과학자는 세명 뿐이다. 물리학상(1903년)과 화학상(1911년)을 받은 마리 퀴리, 화학상(1954년)과 평화상(1962년)을 받은 라이너스 폴링, 그리고 존 바딘이 그들이 ... 페르미 국립연구소 이론 물리학부장, 사위 토머스 그레이탁은 MIT의 저온 실험 물리학
교수
다 ... ...
인간과 더불어 산 얼음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08
밖으로 흘러나오면서 찬바람을 내고 얼음을 얼린다는 것이다.그런데 최근 부산대 문승의
교수
는 비밀은 화산암이 아니라 지하수가 지니고 있다는 기화열설을 제시했다. 일사량이 극히 적고 단열효과가 뛰어난 얼음골의 지형특성상 겨울철에 형성된 찬 공기가 여름까지 계곡주위에 머무는 상태에서 ... ...
흑염소 메디가 만든 인간의 백혈구
과학동아
l
199808
DNA는 생명의 신비를 간직한 블랙박스다. 이곳에는 갖가지 유전정보(유전자)가 들어 있다. 피부와 머리의 색깔, 쌍거풀 등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유전정보도 있고, 인 ... 유전공학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여기에는 유욱준
교수
를 중심으로 30여명의
교수
가 참여하고 있다 ... ...
5. 산꼭대기에 묻힌 노아의 방주
과학동아
l
199808
산봉우리, 만년설로 뒤덮인 그곳에 노아의 방주가 있다”고 썼다.1829년 독일의 파로트
교수
는 최초로 아라라트산 꼭대기에 올랐다. 비록 그는 방주를 찾지 못했지만 “정상이 넓고 평평한 것을 보아 방주가 얹힐만 하다”고 말했다.1876년 영국의 브라이스경은 3천9백m 지점에서 사람의 손으로 다듬은 ... ...
Ⅲ 탄소형제들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808
집적도가 1만배 이상 되는 새로운 반도체가 탄생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서울대 임지순
교수
의 연구 성과이기도 하다.(단일전자 트랜지스터: 전자 한 개의 움직임을 조정해 작동하는 논리회로나 전자 한 개를 잡아두었다가 놓아주는 것으로 기억의 한 단위(bit)를 삼는 소자)탄소나노튜브는 속이 비어 ... ...
이전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