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생제의 과다사용이 가져온 것 갓난아기 수난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미국인의 식탁에 거의 단골로 놓이는 샐러드에도 항생제는 들어있다. 채소가운데 겨우
양
파만이 비교적 깨끗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무분별하게 '생산증가'만을 고려해서 항생제를 남용한다면 당장의 작은 이익은 얻을 수 있겠지만 우리의 장래, 나아가 우리의 후손들은 계산조차 할 수 없는 엄청난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대참사 안전관리 무시한 예측된 사고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소련당국은 이 재해를 수습해 보려고 재빨리 움직였다. 헬리콥터를 동원하여 많은
양
의 납과 모래와 중성자흡수 붕소를 원자로 위에 뿌렸다. 그러나 이런 방법으로는 불을 잡을 수 없었으며 체르노빌의 불은 계속 타올랐다. 한편 소련당국은 사고지점을 중심으로 직경 18마일(28.8km)의 동그라미를 ... ...
수확량,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적의 새농법 눈앞에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있어 85%는 불량한 씨감자가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씨감자를 이용할 경우, 이용하는
양
만큼 감자를 소비하는 것도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57만t 가량의 감자를 수확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4만5천t의 씨감자가 원료로서 소비되는 셈이다. 한마디로 식량자원의 낭비가 크다는 ... ...
기상재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유거수중에 토사 함유량이 줄게 된다. 나무가 잘 우거진 산과 그렇지 못한 산에서는 같은
양
의 비가 내려도 계곡을 흘러내리는 물을 보면 전자는 물이 서서히 늘었다가 비가 그친 다음에 서서히 주는데 반하여 후자의 경우는 급히 늘었다가 급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 ...
태
양
에너지 바닥나지 않는 자연의 선물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가능하다. 그러나 예컨대 지상에서 5천MW 정도의 발전을 하자면 위성은 10km²이상의 태
양
에너지 수집판을 가질 만큼 거대해야 한다. 이에 필요한 자재를 궤도에 올리고 시스템을 건조하는데 드는 비용은 엄청나게 클 것이다 ... ...
식량문제를 해결해줄 수산자원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늘어나고 있다. 국토가 좁고 육상자원이 매우 빈약한 반면 어느 세계 나라보다도 좋은 해
양
환경을 구비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수산물을 식량화하는 등 국가경제발전의 도구로 우리의 풍부한 수산자원을 최대한으로 재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
평범해지고 싶어하는 수재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토론을 벌이곤 했다. 이러한 분위기가 현재의 과학기술에 접목되지 못하면 20대 박사는
양
산할지언정 세계적인 석학은 탄생되기 어렵지 않을까대덕을 떠나 유성으로 나오면서 만난 한국전자통신연구소의 한 연구원은 나름대로 과기대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석사과정 정도에서 그런 조건을 ... ...
색깔로 알아내는 삼림의 병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계측한 데이타로 제작한 것이다.보통 나뭇잎은 쇠약해짐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양
이 적어진다. 이사진에서 녹색 부분은 건강한 나무지만 분홍색 부분의 나무는 쇠약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특히 중앙의 '낙타혹'이라 불리우는 지역의 서사면(西斜面)과 제일 아래의 '아이라 알렌'산의 전나무와 ... ...
세계의 핵 에너지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역할을 한다. 즉
양
자의 수가 일정수 이상으로 늘어 원자 핵의 크기가 일정 이상이 되면
양
자끼리를 이어서 거머쥐고 있지 못하게 된다. 이런 일정의 한계가 원자핵의 크기에 따라 존재하는 것이다).이렇게 원자량이 큰 원자핵은 내부의 결합상태가 느슨해 있기 때문에 힉분열을 일으키기 쉽다. ... ...
해
양
에너지 인류의 도전을 기다리는 미래에너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새로운 에너지 파동에 대한 대비책도 될 수 있을 것이다.해
양
에너지의 존재가 아직은 그리 두드러지지 않을지 모른다. 그러나 부존량이 막대한 만큼 미래의 에너지 자원으로서 큰 몫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조사·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 ...
이전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