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쓰레기 DNA 역할 찾았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구성해 나머지 98% DNA(쓰레기 DNA)의 기능을찾는 연구를 시작했다. 그 결과, 400만 개의 ‘스위치’를 새롭게 발견했다. 유전자가 작동하도록 켜거나 끄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스위치다.프로젝트팀은 이번 연구로 ‘DNA 백과사전(ENCODE)’를 완성했다고 학술지 ‘네이처’에 9월 6일 발표했다 ... ...
- 도전! 대한민국 의사되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선발한다. 가장 중요한 관문인 1단계 서류평가에서는 학교생활기록부, 추천서, 자기소개서를 중심으로 평가한다. 학업능력이나 학내외 활동, 전공분야의 열정과 관심, 지적인 호기심, 적극적인 사고력, 창의적 인재로서의 가능성 등을 평가한다. 특별한 지원 자격은 없으나 매년 경쟁률 8~10대 1정도를 ...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역부족이다.그래서 카쿠 교수는 플라스마 창으로 만든 첫 번째 보호막 뒤에 수천 개의 고에너지 레이저 빔으로 만든 커튼을 배치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레이저빔은 이곳을 통과하는 모든 물질을 기화시킬 정도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레이저 커튼 뒤에 ... ...
- 닐 암스트롱, 영원의 바다로 떠난 달의 영웅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못한 회전운동을 시작했다. 도킹을 해제한 뒤에도 제미니 우주선은 16개 추력기 중 1개가 전기합선으로 열려 1초에 1회씩 회전수가 증가했다. 이렇게 위급한 상황에서도 암스트롱은 침착하게 우주선을 제어하려고 애썼다. 결국 지구 재진입용 추력기를 사용하는 등 30여 분간의 사투 끝에 암스트롱은 ... ...
- 쓰던 휴대전화, 돈으로 돌려주는 자판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실시간으로 보상해 준다. 마크 보울스 에코ATM 공동설립자는 “기기의 손상 정도에 따라 8개의 등급을 구분하는데 깨진 디스플레이 유리, 불량 화소 등 일반적으로 기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구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 응답하라! 수포자!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공식으로 구한 학생들이 많을 것입니다. 원소의 개수가 3개이니, 23=8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8개. 그런데 왜 2n인가요? 바로 답할 수 있으신가요? 공식이 왜 그렇게 되는지 질문을 하는 것이 깊게 이해하는 지름길이며, 비판적 사고에 기인한 공부방법입니다. 수학을 잘 하고 싶다면, 깊이 있게 ... ...
- 스카이다이빙의 달인'마니 뛰니'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덜덜 떨고 있다.“하하…, 이렇게 도전을 하게 되어 영광…. 하하….”바늘 다섯 개를 찾아 줘!드디어 400명과 썰렁홈즈의 도전이 시작됐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어? 썰렁홈즈. 낙하산이 이상해요.”알고 보니 썰렁홈즈의 낙하산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게 아닌가. 혹시 업새블라가 낙하산 발명을 ... ...
- 오! 나의 과학선생님! Oh! my Science Teacher!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현지 어린이들을 가르칠 과학 선생님도 선발하고 있어요. 각 나라에서 짧게는 3개월, 길게는 1년간 아이들을 가르치고, 그 나라의 선생님들과 교류하게 될 거예요. 다양한 문화의 아이들을 가르치는 기회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보다 교육 환경이 열악한 나라의 과학 교육 발전에도 기여할 ... ...
- 거울로 만든 요술 상자, 만화경 만들기수학동아 l2012년 10호
- 모습과 거울 속의 모습이 똑같다. 기하학에서는 이렇게 도형의 모양이 똑같아 완전히 포개지는 것을 ‘합동’이라고 한다.그런데 거울 밖의 모습과 거울 속의 모습이 정말 똑같을까? 아래 그림은 물체를 거울에 비추었을 때 보이는 모습이다. 거울 밖의 물건과 거울에 비친 물건의 상이 정말 같은지 ... ...
- [정보] 최고의 수학자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2년 10호
- 교수님. 만약에 저렇게 분류를 했는데 세 가지로 분류한 각각의 경우가 모두 유한개라는 것을 보인다면 어떻게 되는 거죠?김민형 교수 : 민이 학생의 말대로 만약 그렇게 됐다면, 분류를 잘못한 것이겠죠. 좋은 지적이에요. 그래서 분류를 할 때는 중복되거나 빠트린 소수가 없도록 하는 것이 ... ...
이전6906916926936946956966976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