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PC의 표준언어, BASIC을 배우자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88""APPLE II""IBM-PC" 계산이 가능한 것들은 모두 숫자로만 구성되는데 소숫점(decimal point)의
존재
유무에 따라 실수와 정수로 각각 구분한다. 정수는 소숫점이 없는 데이타이다. 모든 컴퓨터 언어에서는 소숫점의 유무에 따라 정수와 실수를 구분 짓는다. 특별히 BASIC에서는 계산과정에 있어서 정수와 ... ...
인공지능은 전산학의 전부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실험실에서 시스템이 개발된 것하고 일상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상품하고는 상당한 갭이
존재
한다는 것입니다. 전산학 용어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이룩하려면 엄청난 비용, 인력, 시간이 투자되지 않으면 공념불에 지나지 않습니다."우리는 걸음마 단계-국내의 인공지능 연구는 어떤 ... ...
제3의 통신, 중력파 전파통신의 불가능을 해결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사부로'도 조금만 더 실험을 계속 했더라면 하는 생각이 드는데 어쨌든 전파의
존재
가 실험적으로도 증명되지 않았던 시기였던 것이다. 기술적으로도 인접장의 신호를 받는 것이 최대한도이었을 것이다. 인접장이란 보통 전파가 안테나로부터 거리에 반비례해서 약해지는(원거리장이라고 한다) ... ...
질병치료에서 세무자문까지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컴퓨터가 고수와 바둑을 두면 백전백패한다. 그러나 고수들의 지식이 체계적으로 습득되면 컴퓨터는 일관성이 있고 아는 지식의 범위내에서는 인간의 능력을 ... 너무나 많은 지식이 필요하므로 완전히 일반성이 있는 자연어처리 기능을 가진 시스템은 아직
존재
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 ...
데이타베이스 컴퓨터 대중화의 기수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전산화라는 고차원적 의미의 자동화가 우리의 사회 전반에 걸쳐 휘몰아치고 있다.세상에
존재
하는 모든 데이타(자료)는 점점 컴퓨터 속에 모두 저장(기억) 시키려고 하고 있다. 저장된 데이타는 이용자가 원할 때 긴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단순히 컴퓨터 기억장치에 데이타가 ... ...
바다의 탄생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일부로서 지표에 고정되었다고 생각된다. 다만 지표온도가 0℃ 이상의 시기에는 물로서
존재
하였을 것이다.여기 소개한 가설은 지구형 행성의 진화의 모든 사건과 관계되어있다. 아직 연구가 초기단계에 불과하지만 너무 많은 현상에 관계되어 있으므로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지 예측하기가 어렵다 ... ...
대지가 오염으로 앓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존재
하지만 생명체에 참여하는 원소는 40여종으로 알려지고 그중 20여종이 공통적으로
존재
하는데 이러한 원소는 원소상태로 생명체에 참가하는 것이 아니라 토양중의 각종 미생물군에 의하여 흡수되기에 알맞는 형태의 화합물로 바뀐 다음에 동물 또는 식물체로 물과 함께 흡수된다. 이것이 이른바 ... ...
프로그램 능력을 키우자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G와 T의 값의 차이를 구하여 N에 넣으라는 것이다. 만약 변수 H와 R, T에 어떤 수가 이미
존재
하고 있다고 생각하자. 이 계산을 한 후에 값이 변하는 변수는 G와 N뿐이고, 변수 H와 R, T는 처음 갖고 있던 값을 그대로 갖고 있게 된다.할당문(assignment statements)BASIC 형식 :LET결과=피연산자(1) 산술연산자 ...
실전을 통해 익힌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한계가 있다.가르침에 의한 학습이 방법은 컴퓨터에게도 교사나 트레이너(trainer)같은
존재
를 두어 그로부터 가르침을 받아 배워나가는 것인데 이때 배우는 입장에 있는 컴퓨터로서는 입력된 지식을 스스로 이용가능한 형태로 변환시켜야 하며, 새로운 지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 ...
경험적 지식을 활용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인공지능 연구가들에게는 문제를 해결하는 일반적인 방식 즉 어떤 보편적인 원리가
존재
하여 그것이 무엇인가에 촛점을 맞추었으나 그러한 원칙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이거나 효율적이지 못했다.70년대 중반부터는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문제에 관한 충분한 지식이라는 것이 널리 인식되었다. ... ...
이전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