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1만9천-2만3천년을 주기로 회전한다는 것이다. 세번째는 지구 자전축이 4천만년을 주기로
약
22-24.5˚ 사이에서 커졌다 작아졌다하는 변화다. 현재는 23.5˚ 기울어져 있다. 이런 지구 운동을 고려해 얻은 결과는 과거 지구 기후의 실제 데이터와 잘 들어 맞는다. 흥미로운 점은 현재 지구가 더워지고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10대 웰빙기술 01. 행복을 알
약
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
약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부분적으로 조금 진한 영역을 만나게 되는데, 독수리성운은 이곳에서 북서쪽으로
약
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아주 맑은 밤이라면 성운을 흐릿하게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은하수의 조각인지 성운인지 구분하기가 어렵다.쌍안경이 준비되면 좀더 명확한 볼거리를 구경할 수 있다. 여름철 은하수는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감마시크리타제가 베타아밀로이드를 만드는 기능을 억제하는
약
물을 개발할 때는 다른 단백질에 작용하는 기능까지 막는 부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베타아밀로이드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의 수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실제 알츠하이머병 ... ...
민간 유인로켓, 고도 64km 비행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는 수준이다. 멜빌은 고도 13.8km에서 비행기 ‘화이트 나잇’에서 로켓을 분리시키고
약
10초 뒤 마하 2.5의 속도로 45km에 진입했으며 곧 64.4km에 도달했다.캘리포니아 모하비공항에 기반을 둔 스케일 컴포지츠사는 “이번 비행은 민간 유인우주비행을 실현시키려는 노력에 또 하나의 기념비적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탈색된 채 허연 석회질 덩어리로 변한 상태였다.독도는 울릉도에서 92km, 육지(포항)에서
약
2백67km 떨어진 우리나라 최동단에 위치한 섬으로 주변에 크고 작은 바위섬이 많이 포진해 있다. 독도의 지정학적인 특징과 변화가 심한 해상으로 인해 독도의 해산 식물에 대한 연구는 육지 연안이나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년 스타즐 박사팀은 개코원숭이의 간을 사람에게 이식한 후 강력한 면역억제제를 투여해
약
2개월간 생존시킨 예가 있다.이종 간의 극심한 면역거부반응을 피해나가는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는 관련 유전자 중 일부를 없애거나 사람의 유전자로 바꾼 형질전환동물을 만드는 ... ...
금성, 태양의 품속에 잠기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비해 금성은 유달리 더 검고 클 것이다.한편 금성이 태양의 경계면을 통과하는 데는
약
20분이 소요된다. 하지만 태양의 가장자리에서는 뚜렷이 관측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태양 가장자리가 금성에 가려져 파여진 모습을 보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한번 도전해보기 바란다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그런데 태양에너지는 위도에 따라 유입량의 차이가 커서 극지방은 적도에 비해
약
35% 정도 적다. 이런 불균형은 대기와 해양의 지구적 규모의 대순환에 의해 균형을 되찾고 있다. 덕분에 인류는 생존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해양은 대기보다 3배 이상 열을 극지방으로 이동시킨다. 해양이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것으로 추정되는 깃털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크리스찬센 교수는 “다리 깃털은
약
3.5cm 정도로 크기가 너무 작아 나는데 적합치는 않다”면서도 “이 깃털들이 시조새의 조상이 뒷날개가 있었다는 흔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최초의 새들이 4장의 날개를 가졌다는 이 주장은 지난해 ... ...
이전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