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29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판 경계면 아니라 다행? ‘불의 고리’ 밖 지진피해 더 컸다
2016.09.30
수직진동 있었다 일반적으로 판 내부지진에 비해 판 경계지진의 파괴력이 크다. 땅이
위
아래로 흔들리기 때문이다. 지층이 압축되면서 밀려 올라가는 역단층이나, 양쪽으로 잡아당겨지면서 단차가 생기는 정단층 형태의 지진이 대부분이다. 이런 지진은 2011년 동일본대지진 때처럼 거대한 지진해일 ... ...
동물
위
에 밀렵꾼, 밀렵꾼
위
에 ‘동물로봇’
과학동아
l
2016.09.30
소리를 녹음하면 컴퓨터는 어떤 고래가 주변을 지나는지 분석한다. 이 자료는 인공
위
성을 통해 WHOI로 전송된다. WHOI는 이 정보를 선박과 실시간으로 공유해 고래와의 충돌을 예방할 계획이다. 동물을 지키는 다양한 첨단기술에 대한 이야기는 ‘과학동아’ 10월호에서 만날 수 있다. ... ...
상어가 뿜은 ‘노란 폭탄’ 화제
2016.09.30
것이다. 노란 배변 폭탄이 바다를 채우고 사람들을 당황하게 했으며 물고기 떼를 불렀다.
위
이미지는 2010년 멕시코 만에 촬영된 영상 중 일부이다. 이 희귀한 영상은 최근 언론과 SNS에서 다시 주목을 받으며,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뽀로로가 더이상 방송국에서 고개 숙이지 않는 까닭은…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9.29
콘텐츠 플랫폼 키즈월드를 서비스하는 블루핀 김정수 대표도 “저희는 앱의 활성화를
위
해 유튜브를 마케팅 툴로 활용했다”면서 “두 서비스가 시너지를 내면서 구글플레이 3000만 다운로드, 액티브 유저 300만명을 기록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블루핀 김정수 대표 ※ 필자소개 ... ...
폭력과 부정부패, 현세의 지옥도가 영화 속에서 펼쳐진다!
2016.09.29
필자 소개 이상헌. 영화를 혼자 보는 게 전혀 부끄럽지 않은 사람. 당신의 소중한 시간을
위
해 3분 안에 볼 수 있는 이번 주 개봉작 소식을 준비했다. 출근길 지하철 안이든, 벗어나기 싫은 이불 속에서든, 이번 주 개봉 영화가 궁금하다면 매주 목요일 오전에 딱 3분만 투자하시라! 당신의 영화 선택에 ... ...
평균 연구비 가장 높은 연구기관은 ‘항공우주硏’
2016.09.2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7억1800만 원으로 2
위
를 차지했다. 3
위
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으로 1인당 평균 6억 1600만 원의 연구비가 투입됐다. 김 의원은 이번 자료를 발표하며 “재원의 분배가 합리적으로 이뤄지는지 검토가 필요한 대목”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1인 평균 연구비는 연구의 ... ...
오징어 잡아먹는 오징어
2016.09.28
팝뉴스 제공
위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비영리해양생물연구기관 MBARI이 공개한 것입니다. 오징어가 오징어를 사냥하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23일 미국 과학매체 라이브사이언스의 보도에 따르면, 오징어 세계의 ‘카니발리즘(동족사냥습성)’은 연구자들이 20년 동안 무선조종잠수함을 ... ...
바다 풍경이 압권이 저택들
2016.09.28
하늘과 하얀 구름이 집의 일부인 것 같다. 두 번째 사진은 호주 바다를 품은 집이다. 수면
위
에서 반짝이는 햇살이 인상적이다. V형태 기둥으로 안팎을 가른 맨 아래의 집은 칠레에 있다. 바다가 가깝다. 그러나 예쁜 풀이 더 가깝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돌고래와 수중 기념 촬영한 여자
2016.09.28
미국 뉴욕 등지에서 모델로 활동하고 있다. 인스타그램에 공개된
위
사진은 신비한 분
위
기다. 사람과 돌고래가 친구처럼 사진 촬영에 임했다. 돌고래의 연기력(?)도 상당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포악한 상어 코를 만지는 남자
2016.09.27
느낄 수 있는 거리다. 해외 네티즌과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화제의 사진으로 떠오른
위
이미지는 비범하다. 보통 이런 상황의 키워드는 ‘공포’다. 그런데 사람의 얼굴에서는 공포감을 읽을 수 없다. 또 공격적인 백상아리지만 애완동물 같은 자세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상어의 코에 ... ...
이전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