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유
입수
소지
점유
작은창자
교장
청원서
d라이브러리
"
소장
"(으)로 총 1,115건 검색되었습니다.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07
보충해 수정시켰더니 세포분열이 중단되지 않고 정상적인 임신이 이뤄졌다.그러나 정
소장
은 “현재까지 왜 세포질을 보충해주면 임신률이 높아지는지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져 있지 않다”면서 “미토콘드리아 이외에 다른 성분 때문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해 다른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06
70명. 이 정도면 웬만한 대기업 연구소가 부럽지 않은 수준이다. 이정기 인바이오넷 연구
소장
은 “이들 연구원은 공동 세미나를 개최해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런 세미나들이 연구원에게 지적 자극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 결과가 최근의 공동 연구 추진으로 나타난 것이다. ... ...
동양산학에 등장하는 수열과 급수
과학동아
l
200105
않음에 놀라게 된다. 지금으로부터 무려 3천8백년 전 이집트에서 기록된, 대영박물관
소장
의 ‘린드 파피루스’(Rhind papyrus)라고 불리는 문서에도 등비수열을 다룬 문제의 흔적이 남아있을 정도이다.‘구장산술’에서는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에 관련된 내용이 주로 셋째장인 쇠분(衰分)에 등장한다. ... ...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0105
그리고 나중에 더블린대학으로 옮겼다.이후 더블린고등연구소를 거쳐 동 연구
소장
으로 1955년까지 종사했다. 더블린에서 지냈던 이 무렵 그는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집필하였다. 오랜 망명 생활을 끝내고 1956년 자신의 모교 빈대학으로 돌아왔지만, 곧 병을 얻고 1961년 세상을 떠났다. 그는 이 책 ... ...
탁월한 리더십 발휘한 과학자 베스트5
과학동아
l
200104
사람도 그만큼 많다.그는 1969년에 하버드대학을 그만두고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의
소장
이 됐다.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는 1940년대부터 분자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소였다. 그러나 왓슨이 부임할 무렵에는 재정상태나 규모가 아주 나쁜 상태였기 때문에 하버드의 연구실과 비교가 되지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04
암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다. 한국의 게놈 연구 수준을 전혀 모르고 있던 스트라우스버그
소장
은 인간유전체기능사업단의 연구 결과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공동연구를 하게 된 계기는 국가별로 암이 발생하는 부위가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미국은 대장암이나 유방암이 많고 브라질은 뇌나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03
이 자료는 유전자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생거 센터의
소장
인 설스톤박사도 게놈 연구자료를 세계 과학계에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에 크게 기여했다. 설스톤박사는 2000년 6월에 인간 유전자 초안을 공개하는 자리에서 “인간이 인간을 만들 수 있는 매뉴얼이 우리 손에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
과학동아
l
200103
게놈프로젝트에 참여해온 재미 과학자들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게놈연구
소장
김웅진교수, 미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NCBI)의 장원희박사, 미 국립보건원 산하 정신의학연구소의 진혜민박사 등이 꼽힌다. 일본 이화학연구소 게놈과학연구센터에서 생명공학연구원으로 자리를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
과학동아
l
200103
국가와 그렇지 못한 국가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고 평가했다. 영국의 생거 센터 전
소장
인 존 설스턴 박사는 “지난 1998년 셀레라가 인간게놈의 염기 서열을 해독한다고 했을 때 다국적팀의 연구가 없었다면 이미 게놈 정보가 사유재산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늘 우리가 축하하는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
과학동아
l
200102
내장된 컴퓨터와 그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념은 1990년대 초 제록스 파크의 연구
소장
이던 마크 웨이져의 ‘어디에나 존재하는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과 같은 것으로,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의 ‘보이지 않는 컴퓨팅’(Invisible Computing), IBM의 ‘스며드는 컴퓨팅’(Pervasive Computing) 등에서 그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