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의"(으)로 총 5,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꽉 막힌 배수구, 비켜!과학동아 l201410
- 누구나 한 번쯤 휴지조각이나 담배꽁초, 씹던 껌 같은 작은 쓰레기를 길가 빗물받이에 버려봤을 것이다. 빗물받이는 빗물이 도로에 고이지 않고 하수관으로 흘러가도록 도로에 뚫은 구멍이다. 바둑판 무늬의 철망 뚜껑으로 덮여 있다. 사람들은 훤히 보이는 길바닥 대신 캄캄한 구멍 속으로 쓰레기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10
- 1957년 4월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휴 에버렛 3세의 박사학위 논문이 통과됐다. 에버렛은 이 논문에서 양자역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방법을 제시했다. 논문이 통과되기 1년 전, 지도교수였던 존 휠러가 양자역학의 대가 보어를 방문해 논문을 소개했다. 하지만 보어의 반응은 냉담 그 자체였다. 양자역학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10
- “외국인이 한국말을 잘해도 비정상이라고요? 아닌데에~? 처음에는 외국인이 한국말도 잘 한다고 칭찬해 주시더니, 요즘은 외국인이 한국말을 너무 잘하는 거 아니냐며 이상하게 보기도 해요. 10월 9일 한글날을 맞이해서 안건으로 상정합니다. 한국인만큼이나 한국말이 유창한 저희 G11, 비정상인 ...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과학동아 l201410
- 대학의 존재 이유는 다양하다. 전문적인 교육으로 인재를 배출하고, 진리에 대한 탐구로 사회에 기여하는 것. 이를 통해 한 국가, 더 나아가 인류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 이런 측면에서 이공계 특성화 대학의 책임감은 막중하다. 특히 기초과학의 성과를 사업화하는 과정은 국민이 과학기술의 혜택 ...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10
- 얼마 전 충격적인 발견을 했습니다. 어찌나 놀라운지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와중에도 믿기지가 않습니다. 사정은 이렇습니다. 저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가 보내온 사진을 하나씩 보던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탐사선이 파낸 흙 아래로 슬쩍 보이 ... ...
- [과학뉴스] 3년만의 개기월식과학동아 l201410
- 오는 10월 8일,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이 일어난다. 특히 한반도를 비롯한 아시아와 호주, 태평양, 남북아메리카에서는 달이 가려지기 시작해서부터 전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전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개기월식이 일어나는 것은 3년만이다.한국천문연구원에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10
- 서울 잠실에 건설되고 있는 123층 초고층건물 ‘롯데월드타워’에 대한 논란이 한창이다.지반이 불안정하다는 주장부터 땅속 지하수를 건드렸다는 의혹까지 다양하다.현대자동차는 10조 원 넘게 들여 차지한 서울 삼성동 한전부지에 100층이 넘는 건물을 지을 계획이다. 그런데 혹시 근본적으로, 초 ...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10
- “아우, 윗사람 때문에 화가 나서 돌 지경이에요. 걸핏하면 아랫사람 탓이나 하고. 뚜껑이 열리기 직전이라고요.”“요즘 젊은 것들, 보고만 있어도 머리끝까지 화가 치밉니다.” “정치판 하는 꼴 좀 보세요. 이게 도대체 나라가 맞나요? 이민을 가든지 해야지, 정말 화가 나서 못 살겠습니다.” 회 ... ...
- 무서운 사고 후 트라우마가 온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410
- 지난 4월 16일 전라남도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침몰해 수많은 사람이 세상을 떠나는 사고가 일어났어요. 전문가들은 이 배에서 구조된 승객들이 심각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후군(트라우마)’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어요. 트라우마는 목숨이 위협받는 일을 겪은 후, 당시 느꼈던 공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10
- 영화 에 등장하는 골룸과 영화 의 주인공 시저의 공통점은 뭘까?바로 둘 다 컴퓨터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가상의 캐릭터라는 점이다. 대체 골룸과 시저 같은 가상 캐릭터는 어떻게 사람이 원하는 대로 움직일까?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수학동아 독자기자들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