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모퉁이
구석
모서리
어귀
길목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각도
"(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투수를 해부하는 메스, 투구추적시스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7cm, 상하 7~10cm 정도의 차이가 있다. 이는 니퍼트 선수의 독특한 투구 습관에 따라 팔의
각도
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타자가 니퍼트 선수의 구종을 읽는 단서가 된다. 하지만 니퍼트 선수는 한국에선 이런 습관을 없앴거나, 공의 위력으로 이런 약점을 상쇄했기에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자기장의 영향으로 블랙홀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트가 분출되는 것이다. 제트의
각도
범위는 5° 내외로 추측된다.“아마도 제트의 방향이 지구를 향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을 관측할 수 있었을 겁니다. 운이 좋았던 거지요.”그렇다면 지구에서 불과 수만 광년 떨어진 우리은하 중심의 ... ...
PART 1. 수학은 언어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말이다. 그들의 행동을 유심히 살펴봤다.이번 컨퍼런스는 하나의 문제를 여러
각도
에서 어떻게 푸는지 자유롭게 토론하는 방식으로 이어졌다.오늘 주제는‘평면을 채우는 다양한 방법’. 첫 번째 문제는 큰 직사각형(가로길이 12cm, 세로길이 11cm)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작은 직사각형(가로길이 4cm,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점에서 노가 축을 지렛대로 이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노의 안쪽과 바깥쪽이 같은
각도
만큼 이동하려면 바깥쪽에 1의 힘이 필요할 경우 안쪽에서 2.35의 힘을 작용해야 한다는 얘기다. 즉 바깥쪽이 긴 만큼 노를 젓는 선수들의 힘이 세야 한다는 얘기다. 그런데 무한도전팀은 힘이 약했다. 이런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눈에 보인다. 스튜디오 안에서 자세를 낮추면 주변의 모든 화면이 아래서 올려다보는
각도
로 보이고 벽 뒤의 장면도 살짝 고개를 돌려 엿볼 수 있다. 이 스튜디오도 하이브리드 슈퍼컴퓨터로 구현되지만 보이는 영상은 실제와 많이 다르다. 상하는 물론 전후좌우의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정해야 ... ...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창을 던져요. 몸을 회전시키는 동작 없이 직선으로 던지기 때문에 부채꼴 구역의
각도
는 29°에 불과하죠. 빠르게 달리는 실력이 중요한 만큼 창던지기 선수는 다른 던지기 종목의 선수보다 날씬하답니다. 창의 길이는 2.2m 정도지만 무게는 800g에 불과해요. 가벼운 창이 공기저항을 이기려면 창에 ... ...
팔은 발보다 빠르다! 휠체어 육상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가속된 뒤 안정적으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작은 핸드림을 사용한다.뒷바퀴의
각도
(캠버)가 낮을수록 휠체어의 무게중심이 낮아져 뒤집어 질 위험 없이 경기할 수 있다. 하지만 그만큼 빠르게 달리기 어렵다는 약점이 있다. 휠체어의 길이도 경기에 영향을 준다. 휠체어가 길면 길수록 가속이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줄 알아야 한다.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의 말과 생
각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을 줄 알아야 한다. 다른 사람의 생각을 듣고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면 다양하게 접근해 생각할 수 있는 능력도 생긴다.그런데 요즘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입자물리학과 정보물리학까지 물리학의 주요 개념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태양광의 반사
각도
를 설명하면서 방향성을 고려한 물리량인 벡터를 자연스럽게 소개한다. 참신한 비유와 설명을 만날 수 있다. 상대성이란 무엇인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음 | 고중숙 옮김 | 김영사 | 304쪽 | 1만 6000원 이 ... ...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높이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있어요. 공중자세가 무엇이든 상관없이 포물선의 높이나 길이는 발을 구를 때의 속도와
각도
에 따라서만 결정된다는 뜻이죠. 발을 구르는 순간 뛰는 거리가 결정된다는 말과 같습니다. 그런데도 공중자세가 필요한 이유는 착지 때문이에요.멀리뛰기에서 최종기록은 신체의 어디든 바닥에 닿은 곳을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