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네이버에 e메일을 보냈다. 실내조명으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고, 꼭 만나고 싶다고. 지금 생각하면 무모한 시도지만, 절실한 마음이 통했는지 네이버에서 처음으로 기관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투자를 받기는 했지만, 실제 회사를 운영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 ...
- [동아리탐방] 미적분 공부하며 함께 성장한다, 경기북과학고 Limes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꿈꾸는 박석현 학생은 “하드웨어만 다루는 로봇 동아리보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꼭 필요한 미적분을 배우고 싶어 들어왔다”고 말했다.이주연 학생은 “Limes에는 수학을 잘하는 학생이 많다”며, “멘토링을 통해 수학을 잘하는 선배에게 배울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설명하며, 미적분이라는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발전하죠. 가사 로봇은 인간형 로봇보다 구현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울 것 같은데요?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보통 식사를 할 때 항상 같은 그릇에 담아 먹지 않고, 한 곳에서만 먹지도 않습니다. 먹고 난 그릇의 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은데 로봇이 알아서 찾은 다음 싱크대에 두고 닦는 행위에는 ... ...
- 이 시각 MIT에서는? ‘위대한 적분가’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주면서 기념 모자를 씌어주죠.수학 문제를 푸는 대회라니 정말 MIT 학생들 답지 않나요? 꼭 적분이 아니어도 좋아요! 반 친구들과 이차방정식 대회, 인수분해 대회 같은 수학 대회를 열어 즐겁게 수학을 공부해보는 건 어떨까요? tip1 ● 글씨는 가능한 작고, ... ...
- [탐험대학] 실패에서 배운다! 탐험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발사에는 실패해 인공위성을 날리지는 못했지만, IM-2020 프로젝트는 이제 시작이다. 꼭 날릴 것이다!”고 선언했답니다. 탐험가들과 직접 소통하는 부스 세션, 좋아요!탐험가 스피치가 끝난 후에는 페스티벌 참가자들이 직접 탐험을 진행한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부스 세션’이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사람에게 투여하는 임상시험을 하기 전에 우리와 같은 동물에게 투입하는 전임상시험을 꼭 거쳐야 해요. 약국에서 파는 진통제도 우리를 통해 안전성이 확인된 제품이라는 뜻이죠. 우리가 인간의 건강한 삶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 이제 아시겠죠? 신약 연구용 유전자변형 쥐 1891종 ... ...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년마다 평가 종합보고서를 발표해, 21세기에는 기후변화가 얼마나 빨라질지 전망해. 이때 꼭 필요한 게 바로 ‘수학’이야.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수학을 기반으로 한 기후 모형이 필요하다나. 보통 산업화 이전부터 지금까지 이산화탄소의 증가 추이를 그대로 따라간다고 예상해. ... ...
- 칠교놀이 한판 승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질문을 했어.싱겁게 끝나버린 힐베르트 3번 문제힐베르트는 이 자리에서 20세기에 꼭 풀어야 할 문제 23개를 발표했는데, 3차원에서의 분할합동 문제는 3번 문제였지. 8번 문제는 아직까지 미제로 남겨진 ‘극악무도한’ 리만 가설이야.하지만 3번 문제는 리만 가설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에는 머쓱할 ... ...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아이디어를 보고 메이커인 지뇽쿤 님에게 일단 들이밀었습니다. 그리고 세 가지 기능을 꼭 넣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우선 치킨이 발사돼야 하고, 동시에 허니콤보 소스가 묻어나오길 바랐습니다. 또 어디든 가져가서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성도 요구했죠. 지뇽쿤 님은 당황스러워하면서도 속으로는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시냅스 접착 단백질 기초 연구는 뇌 질환 정복을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셈이다. 현재 고 교수팀은 ‘LRRTM’ ‘SLITRK’ ‘LAR-RPTP’ ‘MDGA’ 등 네 가지 시냅스 접착 단백질군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LRRTM군은 중추신경계에서 많이 발현되며, 특히 다양한 뇌영역에서 서로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