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발
머리털
머리
모발
헤어
두부
두상
d라이브러리
"
머리카락
"(으)로 총 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있는 과학퀴즈 정전기의 신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문지르면 (-)전하를 띠게 된다. 책받침을 옆구리에 끼고 문지른 뒤 머리털에 대면
머리카락
이 끌려오게 된다. 어떤 물체가 전하를 띠었는지 알아 보려면 검전기를 활용해야 한다. 그런데 검전기의 위판에 (-)전하를 띤 빗을 갖다 대면 빗에 있던 전자가 알루미늄 호일을 타고 들어가 금속박은 ... ...
초소형 금속기어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인간의
머리카락
두께보다 조금 굵은 초소형 금속기어가 위스콘신대학 공학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이 기어들은 압력의 변화나 운동을 감지하는 초소형 센서(sensor)에 이용될 것이다. 연구팀들은 곧 이 기어를 이용한 초소형기구들도 개발해 상품화할 예정인데 그 크기는 1백μ을 넘지 않는다 ... ...
다시 주목받는 갈륨비소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한계일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 첨단반도체의 트랜지스터 크기는 0.5~1μ 정도. 사람의
머리카락
두께가 1백μ 정도인 점을 생각하면 엄청나게 미세한 기술이다. 더구나 이것은 MOSFET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의 가정이고 더 향상된 제조공정이 도입될 경우 0.01μ까지도 가능하다고 반도체공학자들은 ... ...
PART I 암의 정체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접착력이 약해 비교적 쉽게 떨어지기 때문이다.이와같은 암은 손톱 발톱 그리고
머리카락
을 제외하고는 어느 장기에나 다 생길 수 있으며, 종류도 다양해 사람에게 발생하는 암의 종류는 약 2백70종으로 보고됐다.왜 암에 걸리나?인간의 몸은 끊임없는 분화와 증식으로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 생명을 ... ...
하늘의 변덕을 헤아리는 불침번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드는 것은 내가 대기과학도이기에 앞서 더위를 타는 한 인간이기 때문일까. 땀에 젖은
머리카락
을 스쳐 지나는 바람의 떨림을 느끼며 내가 추구하고 이해하려는 대기과학이란 학문은 과연 어떤 것인가 곰곰 생각에 잠긴다. ●-첨단기술에 힘입은 현대 대기과학지구를 위시한 행성들의 대기에서 ... ...
알레르기질환의 주범 진드기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매력적인 주거지로 만들지 않는 것이 진드기퇴치의 첩경인듯 하다. 피부표피와 빠진
머리카락
도 진드기의 먹이가 되지만 가장 영양분이 풍부한 음식물은 정액이라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정상인의 1회 사정액은 3.5㎖, 건조중량으로 2백80㎎쯤 된다. 케임브리지대학의 존슨 및 에버릿교수의 ... ...
인간의 색소로 피부보호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독성물질로 변하기도 한다. 천연 선탠로션은 이런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사람의
머리카락
을 65℃의 가성소다에 3시간 동안 담가두면 과립형 멜라닌 색소와 가수분해된 케라틴을 얻을 수 있다. 멜라닌은 피부암까지도 유발하는 해로운 자외선만 흡수하기 때문에 비타민D의 생성에 방해가 되지 ... ...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사용해 집적회로와 기판들의 청사진을 떠놓는다. 이때 컴퓨터는 설계도들을 인간의
머리카락
보다 1백배나 더 미세한 모형도로 전환시켜 준다. 그 모형도를 규소표면 위에 펼쳐 놓고 빛을 한번 비춰주면 모형도에는 화학물질(여기서는 식각용제를 말한다)에 대한 저항이 높은 부위와 낮은 부위가 ... ...
머리카락
보다 가는 모터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사람의
머리카락
보다 가는 전기모터가 개발됐다. 이는 의학 기계제작 및 기타 과학분야에 새영역을 열어줄 것으로 예상된다. 일종의 전자분야의 혁명이라고도 볼 수 있는 이 소형모터는 최근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팀이 개발해 낸 사상 최소형의 모터로, 지름이 사람의
머리카락
(70~100미크론 ... ...
귀없는 기형아들에게 희소식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최근 새 귀를 얻게 돼 기분이 날아갈 것 같다. 자신의 기형을 감추기 위해 길게 길렀던
머리카락
도 자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렇게 한쪽 또는 양쪽귀가 없이 태어나는 아기는 프랑스에서만도 매년 1백50여명이나 되는 데 이번 필립의 기쁨은 동시에 이 불구아기들의 희망이 된 셈이다.갈비뼈의 연골을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