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d라이브러리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름달 VS 슈퍼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보통 크고 밝은 달을 이르는 말이에요.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서는 그해의 가장 작은 달인 미니문보다 지구에서 본 달의 지름 크기가 최대 14% 더 크고 30% 더 밝은 달을 슈퍼문이라고 정의했어요.슈퍼문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달의 공전 궤도에 있어요. 달의 공전 궤도는 타원형이기 때문에 ... ...
화성에서 발견된 동물 다리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로봇아. 너는 누구니?저는 지난 2011년 11월 NASA(
미국항공우주국
) 과학자들이 보낸 화성탐사 로봇인 ‘큐리오시티’예요. 아틀라스 V로켓을 타고
미국
플로리다에 있는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를 떠나 약 8개월 만인 2012년 8월 6일에 화성에 도착했어요. 2년 동안 화성에 생명체가 살았던 흔적이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느끼는 시간이 다른 것처럼 말이지.재밌게도 NASA(
미국항공우주국
)가 일란성 쌍둥이 우주인 형제를 대상으로 특수상대성이론을 확인하는 실험을 할 예정이래. 내년 3월에 쌍둥이 중 한 명은 지구에 있고 나머지 한 명은 우주정거장에 1년간 머문 뒤, 누가 더 늙는지, 어떤 변화가 생기는 지 확인할 ... ...
방학엔 외국여행? 우리는 우주여행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태우고 우주로 떠난다고 발표했거든.그때까지 우주로 간 사람은 세계
항공
연맹(FAI) 기준으로 539명. 1961년에 소련의 유리 가가린이 세계 최초로 ... 비용이 많이 들어 일반인이 우주로 가기가 매우 어려웠어. 그래서 1996년
미국
의 후원단체인 X프라이즈 재단이 민간우주여행에 성공하면 현상금 100억 원( ... ...
우주에서만 신는 신발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NASA(
미국항공우주국
) 과학자들이 우주인들이 신는 신발인 ‘포스슈’를 개발했어요. 오랫동안 무중력공간에 머무르면서 근육이나 골격에 무리가 갈 수 있는 우주비행사들을 위해 만들었지요.포스슈는 흔히 볼 수 있는 샌들에 높은 굽을 단 것처럼 생겼어요. 하지만 그 굽에 과학기술이 숨어 ... ...
여름밤을 흐르는 우윳빛 강물 은하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천체사진가예요. 권 작가가 찍은 사진이 NASA(
미국항공우주국
)의 ‘오늘의 천체사진’에 2번이나 선정됐답니다. ‘권오철의 별과 사진’ 홈페이지(blog.kwonochul.com)에 들어가면 사진을 연속으로 찍어서 만든 타임랩스 영상도 감상할 수 있어요.계절에 따라 변신하는 은하수우리 은하를 투명한 접시라고 ... ...
화성으로 가는 지구의 비행접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NASA(
미국항공우주국
) 과학자들은 이번 달에 비행접시인 ‘LDSD(저밀도 초음속가속기)’를 시험비행할 거라고 밝혔어요. 이 비행접시는 사람과 화물을 태우고 화성까지 가기 위해 만든 것이에요. 과학자들은 하와이 카우이 섬에 있는 태평양미사일시험장에서 LDSD를 우주까지 띄워 날리는 시험비행을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이야기는 시작도 안 했는걸? 나는 발견된 직후에
미국항공우주국
(NASA)으로 옮겨졌어. 행여나 지구 공기에 오염될까, 진공 포장 박스에 담겨서. 고향과 비슷한 환경이라서 편안한 마음에 잠깐 졸다 일어났는데, 세상에! 맥케이 박사님이 내 몸을 두 조각 내서 초고배율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 보고 ... ...
[과학뉴스] 700km 상공에서도 보이는 인간의 흔적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한 이 사진은 도대체 무엇일까. 올해 7월 3일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인공위성 랜드샛 8호(LCDM)가 촬영한, 뉴질랜드 북섬 타라나키 산이다(흰 부분). 그 주변의 짙은 녹색 부분은 에그몬트 국립공원으로 보존돼 온 지역이고, 옅은 녹색 부분은 한때 목초지로 개발됐던 지역이다. 인간이 본래 자연의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00m. 축구장만한 크기의 망원경이었다. 이는 당시
미국
항공우주국
(NASA) 기술로 우주에 쏘아 올릴 수 있는 한계치의 10배나 됐다. 과학자들은 오리가미 전문가인 로버트 랭 박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랭 박사는 망원경을 72개의 조각으로 만든 뒤 접어서 로켓에 싣고, 우주에서 다시 원래 모습대로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