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진열관
자료관
미술관
뮤지엄
유적박물관
유적
d라이브러리
"
박물관
"(으)로 총 1,10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항공기를 타면 서울에서 워싱턴까지 2시간이면 된다. 워싱턴에 도착해 하루 종일
박물관
을 둘러 본 뒤 저녁에는 포토맥 강의 벚꽃 아래에서 맛있는 저녁을 먹었다.과연 한국에서 미국이나 유럽까지 2시간 만에 갈 수 있을까? 실제로 한국과 미국을 2시간 만에 오가는 비행기가 개발되고 있다. 미국은 ... ...
가짜는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 내가 두 눈으로 똑똑히 공룡 뼈를 보고 왔는데….
박물관
의 공룡이 가짜? 왜 가짜지?
박물관
에 전시된 공룡 뼈 중에는 진짜 화석도 있고 사람이 똑같이 본떠 만든 가짜 화석도 있어요. 왜 가짜를 만드냐구요? 진짜 화석은 연구에 이용하는 중요한 표본이자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소중한 것이지요. ... ...
1등 조명LED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세대부터는 백열전구를
박물관
에서만 볼 수 있을지 모른다. 지구 온난화의 여파로 조명세계에서 구조조정될 처지가 됐기 때문이다. 백열전구는 전력을 많이 소모하면서도 5%만 빛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95%는 열이나 적외선으로 방출한다.가장 먼저 백열전구를 퇴출하는 곳은 유럽연합. 유럽연합은 200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갑천을 바라다보며 선 아담한 5층 건물에서 1층과 2층은 레스토랑, 3층은 로봇 레스토랑
박물관
, 4층은 체인 본부, 5층은 로봇 레스토랑 전문 연구소가 들어섰습니다.마당쇠 로봇이 주차를 돕는 순간부터 가슴이 콩당콩당 뛰기 시작합니다. ‘강쇠’라는 우스꽝스런 이름표를 단 녀석은 여덟 개의 ... ...
2007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로 오라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9박 10일이었지만 시험을 치른 날은 3일뿐이다. 6일 동안 브라질의 유명한 동물원과
박물관
을 여행하며 추억을 만들었다.세계 유일 중학생 과학올림피아드2006년 12월 4일부터 12일까지 브라질 상파울로에서 열린 제 3회 IJSO에서 우리나라는 대만, 러시아 등 30여 개국과 겨뤄 금메달 6개를 휩쓸며 당당히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시계가 전통적인 유산인 혼천의와 결합해 새로운 혼천시계로 탄생한 것이다.현재 고려대
박물관
에 보관돼 있는 혼천시계는 서양의 자명종식 기계시계와 전통의 혼천의가 결합된 모습이다. 이런 방식의 혼천시계는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것으로 조선만의 독특한 혼천시계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그 ... ...
제6회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지난 12월 21일 제 6회 ‘올해의 한국여성과학기술자상’에 고려대 박정희교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안지환 박사, 서울대 노정혜 교수가 선정 ... 공로로 노 교수가 수상했다.안 박사는 포상금으로 받은 1000만원 전액을 계룡산자연사
박물관
이 발족한 지구환경 및 재활용 교육재단에 기부했다 ... ...
루브르
박물관
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화면의 분할과 구도, 인체의 비례가 만들어내는 황금비는 수학의 영역에 속한다. 루브르
박물관
전의 그림을 보며 예술적 감수성으로 덧칠해져 있는 캔버스 아래 어떤 수학적 코드가 숨어있는지 찾아보는 일도 재미있을 듯 하다 ...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세계적으로 뱀 연구로 유명한 브라질의 연구소 1901년 상파울루 교외 9km 지점에 연구실과
박물관
· 부속병원이 300ha의 넓은 대지에 건설되었다 단색광을 시료물질에 투사하여 그 시료가 흡수한 빛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분광측정이라고도 한다빛의 복사에너지의 상대량을 파장의 함수로 ... ...
아들은 아빠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성별 결정에 엄마가 아빠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친다는 설이 우세했다.스페인 국립자연사
박물관
몬세라트 고멘디오 교수팀은 생식능력이 큰 수컷과 짝짓기를 한 붉은사슴 암컷이 암컷새끼보다 수컷새끼를 많이 낳는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수컷 붉은사슴 1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