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피"(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09년 10호
- 는 속담이 있다. 쉽게 말하면, 한대 때리고 열 대를 맞는다는 뜻이다. '말'과 '되'는 둘 다 부피 단위인데, '되'는 1.8L짜리 페트병에 들어가는 양이고 '말'은 그 열 배다. 사람들의 한 말의 절반만큼의 물의 양을 표현 하기 위해 '말'보다 더 작은 단위인 '되'를 만들어 썼다. 같은 방법으로 1보다 작은 수를 ... ...
- 고체 핵자기 공명 분광기로 연료전지 효율 진단한다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액체, 기체 가운데 구성성분의 움직임이 가장 빠른 상태는? 당연히 부피가 가장 큰 기체가 답이다. 그렇다면 고체를 이루는 성분의 움직임은 어떨까. 온도와 압력이 크게 변하지 않는 한, 모양과 성질이 바뀌지 않는 고체는 눈으로 보기에는 아무 움직임이 없다. 하지만 사실 고체 안에 있는 원자나 ... ...
- 지구촌 일일생활권을 꿈꾸며과학동아 l2009년 10호
- 해당하는 현재의 로켓 엔진은 추진제와 산화제를 비행체 내부에 장착하기 때문에 무게와 부피 면에서 효율이 낮고, 항속 거리에도 한계를 갖는다. 이런 이유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램제트 또는 스크램제트 엔진이다.램제트 엔진과 스크램제트 엔진은 초고속으로 날아드는 공기가 저절로 압축되는 ...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대형 유닛을 병렬로 나열해 완성한다.김 교수는 역삼투막을 원통형으로 제작한 이유를 “부피를 줄이고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또한 “역삼투에 필요한 고압을 견디기 위해 베셀은 강도가 높으면서도 무게가 가벼운 신소재 플라스틱으로 제작했다”고 덧붙였다. 사업단은 적은 ...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0호
- 특정 부위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전체 형태는 지네를 닮은 셈이다.문제는 이렇게 되면 부피가 커져 ‘고통 없이 진단 받는다’는 캡슐형 내시경의 최대 장점이 사라진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세계적인 연구기관인 스위스의 로봇지능공학연구소(IRIS)에선 알약 형태의 기기를 한 칸 한 칸 삼킨 뒤 ...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소속의 건물에서 다른 연구실들과 함께 있었는데 새로 들여온 실험 장비들의 부피가 워낙 크다보니 장소를 옮길 수밖에 없었다.그래서 선택한 곳이 지하주차장 옆 사무실. 이곳에 오려면 건물 밖에서 주차장 한가운데까지 걸어 들어온 뒤 ‘격납고 사무실’이라는 팻말이 붙은 사무실을 찾아야 ... ...
- 걸리버 여행기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정육면체를 만들었을 때는 어떨까요? 정사각형의 넓이는 12의 제곱인 144, 정육면체의 부피는 12의 세제곱인 1728이 됩니다.걸리버의 키가 소인보다 12배 크다고 한 것은 당시 영국에서 12진법을 많이 쓰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12진법은 아직 영국에서 쓰는 단위에 흔적이 남아 있지요. 예를 들어, 1피트 ...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따르면 대체로 같은 용량일 경우 리튬이온전지는 니켈수소전지에 비해 무게를 절반, 부피는 20~50% 줄일 수 있다. 역으로 짚으면 니켈수소전지가 덩치는 크지만 능력은 떨어진다는 뜻이다.리튬이온전지의 장점은 또 있다. 높은 전압을 낼 수 있는 점이다. 전지는 전압이 높을수록 순간적인 출력을 ...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중 하나다”라는 사실을 보통의 수학 논문처럼 증명했다.그리고 이 수천 가지에 대해 부피 비를 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해 그것들 모두가케플러의 방식보다 효율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계산했다. 이로써 증명 끝(QED). 하지만 누군가는 프로그램에 오류가 없고, 컴퓨터 하드웨어에 오류가 없고, ... ...
- 삼척동자와 도량형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사용된 척과 두는 모두 도량형(度量衡)의 한 단위다. 도량형에서 도(度)는 길이, 양(量)은 부피, 형(衡)은 무게를 뜻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길이, 넓이, 부피, 무게를 나타내는 도량형의 단위로 미터법(m,m2,m3,㎏)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얼마 전까지만 해도 척, 평, 섬, 근 등과 같은 단위를 사용했다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