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부위원
정부
역원
중역
국
부
이사
d라이브러리
"
위원
"(으)로 총 2,218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가습기 살균제, 무엇이 문제였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최근 ‘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우리나라를 뒤흔들고 있어요.이 사건은 2011년 원인불명의 폐렴 환자들이 연속해서 나타나면서 세상에 알려졌어요. 서울아산병원과 질병관리본부가 중심이 되어 조사한 질병의 원인은 놀랍게도 가습기 살균제였지요.그로부터 5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피해자들은 ... ...
Part 2. 미세먼지보다 작은 살균제가 폐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은 하루에 평균 7~10시간 동안 가습기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때 가습기를 깨끗하게 쓰기 위해서 물에 살균제를 부어 두었죠. 이 살균제 성분이 가습기에서 나온 아주 작은 물방울에 실려 사람의 몸속으로 들어간 게 문제였어요.살균제 성분은 원래 마시면 안 돼!우리 ... ...
Part 3. 규제는 철저하게, 확인은 꼼꼼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살균제처럼 생물을 죽이거나 해를 입힐 수 있는 화학물질을 ‘살생물제’라고 해요. 이번 사건은 ‘세계 최대의 살생물제 사건’이라 불리고 있어요. 살생물제로 사람이 죽는 일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소독제를 마시라고 부추긴 기업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핵심 ... ...
Part 2. 우주를 향해 더 멀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현재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에 속한 행성 중 인간이 살 수 있는 곳으로 꼽히는 것은 화성뿐이에요. 땅이 있는 행성 중에서 유일하게 과거에 물이 흘렀던 흔적이 발견됐거든요. 하지만 화성은 대기가 대부분 이산화탄소로 이뤄져 있어요. 또한 평균 기온이 영하 30℃에 이르고 최저 기온도 영하 140℃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끝에 트루바다를 승인했다. 한국도 준비가 한창이다. 대한에이즈학회 프렙 지침 개발
위원
회는 WHO의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국내 프렙 가이드라인’을 준비해 11월 25일에 열리는 추계학술대회에서 토론할 예정이다. 물론 프렙의 HIV 감염 예방 효과가 100%가 아니기 때문에 콘돔 등 다른 예방법을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학자라도대표 업적은 10년 정도에 집중적으로 나오는 듯 하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노벨
위원
회처럼 직접 프레첼과 베이글, 빵 모형을 들고 나와 위상수학을 설명하고, 물질에서의 의미를 명쾌하게 풀어줬다.과학동아 독자와 과학자가 직접 만나는 ‘과학동아카페’는 2017년에도 이어진다. 1년에 ... ...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여기저기서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수학동아를 꾸준히 본 독자라면 익숙할 겁니다. 노벨
위원
회가 빵을 들고 나와서 한 설명도 처음 본 게 아니겠지요.어머, 이건 해야 해! 이런 소식을 수학동아가 그냥 지나칠 수 없지요. 사실 과학의 어느 분야든 수학을 쓰지 않는 데는 거의 없습니다. 그래도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양자컴퓨터의 오류 처리 문제도 이 연구 결과로 해결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한편 노벨
위원
회는 “초전도체★와 초유체★, 아주 얇은 자기 필름과 같은 물질에서 일어나는 기묘한 현상을 수학 모형을 이용해 설명했다”고 상을 수여한 이유를 밝혔다. 연구는 물질의 성질을 수학으로 설명했다는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노벨상을 수상할 거라고 예측하는 건 매우 안전한 도박이다. 그날이 정말 온다면, 노벨상
위원
회가 과연 K-이론을 대중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궁금할 따름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화성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추측이다. 안호상 건기연 연구
위원
은 “피치 못할 때는 지상에 거주지를 건설하겠지만 거주지 1순위로 꼽히는 곳은 큰 구덩이 형태의 지형”이라며 “화성의 극한 환경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지하에 도시를 건설하고 둥근 형태의 차폐막을 만드는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