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d라이브러리
"
일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장내미생물이 바이러스 감염도 막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었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바이러스 질환 중에는 감염자의
일부
에서만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며 “이번 연구로 장내미생물이 증상의 정도나 바이러스 전파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doi: 10.1016/j.cell.2020.06.02 ...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척도’ 답변 방식도 있지만, MBTI와 MMPI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인터넷에 무료로 제공되는
일부
MBTI 검사가 리커트 척도로 답변을 요구한다면 올바르지 않은 셈이다. 김 연구부장은 “약 78억 명의 인구를 93개 문항과 단 16가지 성격 지표로 정확하게 구분짓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정확한 MBTI는 ... ...
코로나19 치료에 덱사메타손 득일까? 실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증상이 악화되거나 고혈압, 당뇨병 같은 부작용을 앓았던 점을 지적했다. 감염 2~3주차인
일부
환자의 경우 식염수를 처방받은 대조군보다도 혈중 바이러스 농도가 높았다.전문가들은 스테로이드제가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인체의 면역력을 낮추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중증 ... ...
[만화뉴스] 진화를 거스르는 거북개미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문을 막는 종부터 여러 개미들의 머리를 겹쳐 문을 막는 종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지요.
일부
거북개미 종은 조상들처럼 방패 모양이 아닌 머리로 돌아가기도 했고요. 연구에 참여한 다니엘 크라우너 박사는 “거북개미는 다양한 진화의 방향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고 설명했답니다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 세계를 마비시켰다. 당시 스페인독감으로 인한 사망자는 50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일부
섬나라에 소수로 모여 살던 원주민은 전멸했다. 제1차 세계대전 전사자는 약 1000만 명으로 추산되니, 당시 전쟁이 아닌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가 더 많은 셈이다. 그러니 당시 인류에게 전쟁보다 무서운 ... ...
코로나19 팩트체크┃마늘 먹으면 예방 효과 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2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마늘의 활성 화합물은 살모넬라균 등
일부
박테리아(세균)에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증거는 없다. 마늘 외에 거론되고 있는 다른 음식도 있다. 비타민C 영양제와 비타민C가 다량 함유된 레몬과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유전자를 넣을 수 있다는 뜻이다. 생명공학자들은 이를 활용했다. 바이러스의 DNA나 RNA
일부
분을 원하는 유전자로 바꾼 뒤 숙주세포에 넣어 이 유전자를 치료가 필요한 유전자와 교체하면 어떨까. 바이러스를 유전자 운반체로 쓰는 것이다. 이게 바로 바이러스 벡터다. 바이러스 벡터 개발과 가장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어느 날 갑자기 야생동물의 몸속에서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그리고 그중
일부
가 동물과 인간을 둘 다 감염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가 된다. 이런 바이러스가 인간이 야생동물과 접촉하는 과정을 틈타 인간의 몸으로 옮겨가면 결국 인간은 낯선 바이러스의 숙주가 되고 만다. 인간의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2는 30도를 넘는 더위에서는 생존율이 떨어진다. 생존율이 떨어지면 전파력이
일부
감소할 수는 있지만, 이것이 전파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전파력이 예상보다 훨씬 강하다는 연구 결과는 계속 나오고 있다.미국 국립보건원(NIH)과 질병통제 예방센터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수지상세포는 포식 작용을 하는 중 항원의
일부
를 떼어다가 그 특징을 간직한 단백질(후에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라 명명됐다)을 자신의 막 표면에 발현시키는 능력이 있다. T림프구나 B림프구는 수지상세포 표면에 나타난 항원 유래 단백질을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