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장"(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정보가 고양이라는 답으로 연결될 경우, 컴퓨터는 두 정보를 특히 강하게 연관지어 저장해 둬요. 그리고 다음번에 귀 끝이 뾰족한 동물의 사진을 받으면 고양이일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는 거예요. 컴퓨터가 이런 식으로 계속 학습한 결과, 약 75%의 정확도로 고양이 사진을 가려낼 수 있었답니다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처음 연구를 시작한 1970년대에는 이야기가 달랐다.“모두가 센트럴 도그마(DNA가 정보를 저장하고 RNA와 단백질이 전사와 복제, 번역을 한다는 분자생물학의 기본 원리)에 열광하고 있었습니다. 단백질이 어떻게 버려지는가는 관심 밖이었습니다.”그의 말처럼 당시 생명과학의 주류는 DNA의 전사와 ...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 주인공이지요. 왓슨은 위키피디아를 포함한 백과사전들을 통째로 하드디스크에 저장해 둔 채 퀴즈쇼에 나갔어요. 그 결과 인터넷 연결이 안 되는 상황에서도 답을 척척 검색하고, 인간보다 빨리 답할 수 있었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어떻게 에너지를 만들까미토콘드리아가 만드는 에너지는 ATP라는 화학물질에 저장된다. 불이 필요할 때면 언제든 불을 붙일 수 있는 성냥처럼, ATP는 에너지가 필요로 하는 곳에 달려가 에너지를 내놓는다.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다. 머리를 비우고, 눈을 흐리멍덩하게 뜨고는 창문을 열어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카메라 촬영에 녹음까지 가능하다.“여기 스파이앱의 권한을 보세요. SMS, 마이크, 위치, 저장공간, 전화, 주소록, 카메라 등 7가지 기능에 다 접근할 수 있다는 거예요.” 김선태 학생은 자신의 스마트폰을 보여주며 말했다. 이 7개의 접근 권한을 이용하면 생각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해커에게 전달할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알려지면서 안타까움을 더했다.반전은 그의 남편이 A 박사의 두뇌 메모리가 B 업체에 저장돼 있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시작됐다. B 업체는 두뇌 메모리 임플란트 전문 업체로, 뇌 정보를 보관했다가 유사시 새로운 육체에 이식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당시 쌍둥이 동생 C씨는 그 소식을 듣고 자신의 ... ...
- [과학뉴스] 렘수면, 기억 형성 핵심 역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용해 렘수면 상태의 일부 쥐에서 해마의 신경 작동을 껐다. 해마는 뇌에서 기억의 저장을 담당하는 부위로 알려져 있다.그 결과 정상적인 렘수면 과정을 거친 쥐는 소음이 들리면 공포 반응을 보이는 반면, 렘수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한 쥐는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공포를 기억하지 ... ...
- [쇼킹사이언스] 동글동글, 요정의 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강수량 100mm 지대에만 생긴다는 것에 주목했어요.강수량이 100mm 정도인 지역에서만 물 저장고인 요정의 원이 필요하고, 그것보다 많거나 적으면 이런 지형이 필요 없어진다는 거죠.결국 식물들이 경쟁을 하며 살아가는 과정에서 특이한 요정의 원이 생겨난단 거예요.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동전만한 분홍색 난소에는 공기 방울 같은 것들이 10여 개 들어있는데, 이곳이 난자가 저장된 곳이다. 보통 주삿바늘을 찔러 난자를 채취한다. 권 연구원은 “한때는 연구원들이 직접 난자를 가져와야 했는데 지금은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주사기 몸통에 누런 황체와 난자가 점점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생물학, 농림수산식품학, 의생명학 등 생명과학분야 전반의 연구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포스텍(포항공대) 소속 기관이다. 1995년 한국과학재단이 과학의 12개 분야에서 연구정보센터를 선정해 지원했는데, 이 중 하나로 뽑혀 그해 10월 설립됐다(초대 센터장 남홍길 당시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