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두
전체
일체
모든
완전
완비
큰 도끼
d라이브러리
"
전부
"(으)로 총 1,4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남녀 모두 수학이 맛있어지는 양념 공부법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양념 모듬 함께 뿌리는 수학 양념★ 다양한 직업인과 함께수학을 계속 공부한다고 해서
전부
수학자가 되는 건 아냐. 은행, 기상청, 게임 회사 등 다양한 곳에서 수학이 필요하기 때문이지. 각 직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수학을 활용하고 있는지 안다면 수학을 더 열심히 공부하고 싶어질 거야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능력만큼은 세계 최고로 평가받는다.아라온(ARAON)은 바다를 뜻하는 순우리말 ‘아라’에
전부
를 나타내는 ‘온’을 합쳐 만든 이름이다. 얼어붙은 남·북극을 포함한 전 세계 바다를 자유롭게 누비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아라온 호는 해양생태계나 해저지질을 조사하고 극지의 환경변화를 관측하는 ... ...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외부와 통신수단은 고작 반경 20km 주변을 지나는 선박과 교신할 수 있는 VHF무전기가
전부
다. 그럼에도 항해를 성공으로 이끌겠다는 세 사람의 의지는 어느 때보다 높다.해양 강국 네덜란드와 영국은 최근 대규모 항해팀을 구성해 탐사를 추진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슈타드 암스테르담’이라는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경복궁 안에 있는 건천궁에서 이뤄졌다. 건천궁에 설치된 전등은 100촉짜리 전구 2개가
전부
였지만, 이 공사로 경복궁 내부에는 16촉 전등이 모두 750개가 설치됐다. 조명에 필요한 전기는 향원정 물을 이용하는 30kW의 가스 전동기 한 대와 직류 발전기로 공급했다.건천궁의 전등 점화는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전파망원경을 잠시 빌려 썼던 지금까지의 모든 세티 연구 방식에서 벗어나 가동 시간의
전부
를 세티 연구에 할애한다. 게다가 안테나 지름이 6m인 42대의 안테나는 다양한 천체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 당연히 대형 안테나 1개에 의존하는 관측보다 효율이 높다.세티 연구소는 ATA에 속한 ... ...
1. 생활 속 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등장하면서 안전띠는 점차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때까지 안전띠는 허리만 감싸는 게
전부
였지만 1951년 미국의 닐스 볼린이 어깨도 함께 감싸는 안전띠를 개발해 안전성을 더욱 높였다. 우리나라는 1987년에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했다. 2001년부터 안전띠매기 운동을 펼치면서 차를 타면 안전띠를 매는 ... ...
“친환경 솔라보트 시대 주춧돌 되겠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출전한 7팀 중에서 완주한 팀은 겨우 2팀. 대부분 경기 초반에 속도를 내다가 에너지를
전부
소비한 탓이었다. 그러나 솔라포디엄팀은 39분 17초 12의 기록으로 2위와 10분이라는 현격한 차이를 내며 우승했다. 경기 당시 배를 조종했던 조정은 씨는 “경기장을 한 바퀴 돌때마다 전화로 팀장에게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안 된다.“햇볕이 예전만 못해. 10년 전만 해도 1년에 100일은 작업했는데, 요즘은 80~90일이
전부
여. 염전 물에 발을 담그는 순간 딱 알제. 옛날엔 뜨거워서 발도 못 담궜는디, 요즘엔 하나도 안 뜨거워.” 기후변화의 영향이 이곳 증도까지 미친 것일까. 날씨는 계속 더워지지만 일조량이 예전 같지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2007년 하와이에 있는 구경 8.2m 수바루 망원경을 이용해 밝기 26등급까지 별들을 찾았는데,
전부
8만 2252개에 불과했다. 반면 우리은하는 지름이 약 10만 광년이고 2000억~4000억 개의 별들로 이뤄져 있다.왜소은하는 우리은하 같은 은하와 비교해 보면 정말 왜소하지만 대신 숫자로는 우주에 있는 은하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오랜 시간 고민한 끝에 만들어 낸 수많은 정리와 공식을 짧은 수업 시간 동안에
전부
다 익히는 것은 힘든 일이야. 그러다 보니 외우는 데 치우쳐서 수학이 재미 없어지지. 그럴 때 기계적으로 문제를 푸는 것보다 직접 체험해 보는 게 좋아. 몸으로 느끼면 직관적인 인식 능력을 기를 수 있거든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