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안"(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국립자연사박물관 연구원이었던 데일 러셀은 1982년, 아예 ‘공룡형인간(Dinosauroid)’을 제안했어요. 트로오돈이 인간형으로 진화했을 경우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서 만든 거지요. 털이 하나도 없는 매끈한 파충류 특유의 피부와 세 개의 손가락이 달린 손, 머리의 1/3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커다랗고 ... ...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생각을 하게 됐죠. 그래서 실제로 서울시에 꿀벌들을 위한 정원화를 심어달라고 제안하기도 했답니다. 그 결과 앞으로 정원화를 심을 때 꿀벌도 고려하겠다는 답변을 받기도 했고요.엄재윤 : 저는 원래 꿀벌을 무서워했는데, 더 이상 무서워하지 않게 됐어요. 또 도심에도 꿀벌이 많이 살고 있단걸 ... ...
- [News & Issue] “내 아를 낳아도” 육식공룡 구애 흔적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흔적화석’의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기 위한 국제 비교연구로, 2011년 한국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흔적화석이란 발자국처럼 생태와 습성이 기록된 화석을 말한다. 임 연구관은 “공룡 발자국이 많은 우리나라 남해안의 공룡화석산지를 2009년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에 등재 신청했다가, 국제 ... ...
- [News & Issue] 핀치새 50년 내 멸종할 수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나타났다.연구팀은 기생파리에 감염된 둥지를 제거해 기생파리의 번식을 막을 것을 제안했다. 클레이튼 교수는 “감염된 둥지의 40%를 없애면 핀치새의 멸종 시기를 60년 가량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응용생태학’ 2015년 12월 18일자에 게재됐다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조항을 만든 이들이 정말로 무슨 생각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명목상으로는 학자들의 제안이었다고 한다. 우리 은하계에서 최초로 외계인과 만날 때는 본 모습이어야 한다는 게 그들의 주장이었다. 하지만 본 모습이란 무언가. 진화를 거친 직립 보행 동물이 우리의 본 모습일까? 이제 우리에게 옛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종이를 접었을 때의 차이를 눈으로 확인하고 공식을 좀 더 정확하게 만들어 보자고 제안했던 조민지 학생은 “계산은 그렇게까지 어렵지 않았다”며 수줍게 웃었다. 종이를 열 번 남짓 접으려면 40장이 넘는 전지가 필요한데, ‘전지를 일일이 이어 붙인 다음 접고 펼치며 접힌 선과 층을 확인하는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단일한 이론 틀로 매끄럽게 설명하고 있다. 바로 진화생물학자 윌리엄 해밀턴이 1963년에 제안한 ‘포괄 적합도 (inclusive fitness) 이론’이다. 포괄 적합도 이론이 낯설게 들린다고 인상을 쓰진 마시라. 어쨌든 우리는 해밀턴이라는 사람이 만든 과학 이론이 어떻게 부모의 자식 사랑, 남아 혹은 여아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머리 겔만이 1940년대 후반 발견되기 시작한 많은 핵입자(하드론)들을 분류하면서 새로 제안한 6개의 입자다. 인류는 1970년대에 이르러 비로소 원자의 구조와 핵 속에 작용하는 힘을 구체적으로 알게 된 것이다.결국 ‘만진다’는 것은 쿼크가 만드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뤄진 원자가 또다른 원자와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증거가 부족하다며, 참이라고 주장하는 이탈리아의 수학자 엔리코 봄비에르에게 내기를 제안했다. 자이에는 3억 개의 영점이 일직선 위에 있으면 거짓이라는 주장을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컴퓨터로 3억 개까지를 보일 수 있다면 이는 리만 가설을 사실로 인정할 충분한 근거가 된다고 생각했기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 방법은 2002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과 에드워드 파르히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했다.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NASA, 구글,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USRA)가 공동으로 속해있는 양자인공지능연구실(QuAIL)은 디웨이브2X가 양자컴퓨터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배 교수는 “디웨이브2X가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