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동네 축구감독 ‘메시가 혼난대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페널티 킥이 주어진다. 골대로부터 페널티 킥 마크(페널티킥을 차기 위해 공을 두는 지점)까지 거리는 11m! 골키퍼 외에는 모두 페널티 에어리어 밖에 있어야 한다.미션2 수비수를 피해서 요리조리 드리블~!“경기장에 대해서도 잘 알아야 해. 국제경기장은 길이가 100~110m, 폭은 64~75m여야 하지. 골대는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사실을 하나씩 알아가고 있어요. 100km 근처까지 다가갔을 때 처음 소리를 들었고, 26km 지점에서는 가스와 먼지가 분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죠. 혜성활동이 시작되는 순간을 포착한 건 처음이에요. 그날은 9월 26일이었어요. 갑자기 추리 목에서 뭔가가 뿜어져 나왔어요. 혜성에 목이 웬 말이냐는 분을 ...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롤러코스터가 있다고 해보자. 롤러코스터가 마지막으로 멈추는 지점은 가장 낮은 가운데 지점일 것이다. 그곳이 위치에너지가 가장 작아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원소 역시 마찬가지다. 원소에는 ‘질량결손 에너지’라는게 있다. 이 에너지가 크면 그 원소는 과잉 질량을 지닌다. 그러면 마치 높은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공개했다. QR코드를 스캔해 한번 감상해보자.◀ 지구위협소행성은 지름 140m 이상, 지구 근지점 760만km 이하인 소행성을 말한다(그림에서 붉은 점/선). 약 4700개가 있다. 그림에서 보듯이 일반적인 근지구소행성(푸른 점/선)보다 지구 궤도에 훨씬 가깝다.소행성이 지구에 부딪칠 위험은 얼마나 될까.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한 점에 집중된다. 지구에서 가장 강력한 레이저에 실린 채로다. 화력이 집중되는 지점에 놓인 작은 금속 원통 용기 안에서는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물리현상이 나타난다. 벽을 이루는 금 성분이 강력한 엑스선을 방출하기 시작한다. 금속 용기 한가운데는 1억 분의 1초 만에 온도가 4000만K까지 ... ...
- [hot science] 콘돔, 부끄럽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점도를 낮추면, 더 얇은 초박형콘돔도 만들 수 있게 됩니다.”컨베이어 벨트의 중간 지점으로 다가섰다. 거대한 수조 속에 하얀 고무액이 흐르고 있었다.“정말 초박형콘돔으로도 HIV 감염을 막을 수 있나요? 너무 얇아지면 HIV가 그냥 통과해 버리는 건 아닐까요?”공장을 방문하기 전, 로마 교황청이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훨씬 빨리 갈 수 있다.마찬가지로 시공간을 종이처럼 휠 수 있다면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순식간에 이동할 수 있다. 영화 속 웜홀은 구멍이 아닌 구다. 이에 대해 영화에 등장하는 물리학자는 “2차원에서 구멍으로 표현된 웜홀이 3차원에서는 구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2. ... ...
- [knowledge] 바빌로니아인의 실수, 60진법이 원인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쐐기 모양의 설형문자를 새겨 수학 기록을 남겼다. 바빌로니아 지역에 점토판을 만들 지점토가 풍부했기 때문이다. 점토판은 이집트의 파피루스와 마찬가지로 화재 등에 유실되지 않고 보존이 쉬워서 지금까지도 수십만 개가 전해 내려온다. 1846년 롤린스 경이 베히스툰 지역의 고대 양각 비문을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자기보다 뒤에 있는 코끼리의 소변냄새가 난다는 게 이상했던 모양입니다. 자기보다 그 지점을 먼저 통과했을 가능성이 없으니까요. 연구팀도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런 행동을 볼 때, 코끼리가 가족 구성원이 누구인지, 또 자신의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 안다는 의미로 해석했지요. 추가로 ...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멀수록 두 지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이 감소했다. 특히 두 지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은 두 지점 사이 거리의 거듭제곱에 비례해 줄어들었다. 이것은 난류를 다루는 유체역학의 대표적인 법칙인 ‘콜모고로프 척도’와 같다. 더 놀라운 건 고흐가 정신적으로 혼란스러웠을 때 그린 그림일수록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