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장착한 바이러스가 대부분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비관할 필요는 없다. 인류도 1962년
최초
로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한 이후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을 재빠르게 찾아낼 방법을 확보하는 등 새로운 바이러스에 맞서 싸울 준비태세를 하나씩 갖추고 있다. 점점 더 강력해지는 바이러스 시대에 살아남기 ... ...
[이달의 수학자] 끈기로 꽃피운 소신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결과 2014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서 브라질 수학자 아르투르 아빌라가 브라질
최초
로 필즈상을 수상했습니다.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소신을 지키며 꾸준히 노력하는 스메일 교수의 성격은 광물을 모으는 그의 취미에서도 엿볼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광물 역시 땅속의 뜨거운 열과 ... ...
2014년 에볼라바이러스┃피 토하며 죽게 만드는 치명적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에볼라바이러스 증상은 1976년 중앙아프리카 자이르(Zaires·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최초
로 보고됐다. 에볼라 강 유역을 여행한 뒤 미열 증상을 보인 44세 남성 환자였다. 말라리아에 걸렸다고 생각해 입원했던 이 환자는 며칠 뒤 코와 잇몸 등 온몸에서 피를 쏟아내며 사망했다. 이후 이 환자와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를 관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렇게 1939년, 비로소 바이러스로는
최초
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가 전자현미경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세상에 알렸다.이후 지금까지 인간이 발견한 바이러스는 6000여 종에 이른다. 이들 바이러스는 몇 가지 특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발생할 확률이 높아 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레트로바이러스는 1980년대
최초
의 바이러스 벡터로 개발됐고, 1990년 인체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임상시험에 활용되면서 유전자 치료의 실현을 한 걸음 앞당겼다. 하지만 1999년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투여한 환자가 임상시험 중 사망하고, 200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특허권을 갤로 연구팀에게 부여했다. 전 세계 언론은 갤로 연구팀을 에이즈 바이러스의
최초
발견자로 보도하면서 상황은 일단락되는 듯했다. 그런데 9개월 뒤 갤로 연구팀이 발견한 HTLV-3의 유전체 염기서열이 몽타니에가 발견한 LAV와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황이 역전됐다. 해당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PNAS)’에 발표했다. 한편 1973년 당시 록펠러대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랠프 스타인먼은
최초
로 수지상세포를 발견했고, 2011년 스타인먼이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의 연구실은 수지상세포만 연구했다. 이를 통해 수지상세포가 포식 작용과 같은 선천 면역반응을 하는 동시에 후천 면역반응을 개시하는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결과에서도 어베보의 감염 예방 효과는 100%에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어베보는 2019년
최초
의 에볼라 백신으로 승인받았다. 다사다난한 백신 개발 비하인드 스토리는 현재 진행형이다. 최근에는 증식과정에서 수시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가 큰 도전 과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화상 통화로 만나 보았어요. 허동은(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 Q세계
최초
의 허파 장기 칩을 만드셨다고요?사실 세포를 칩 위에 키운다는 아이디어는 오래 전부터 나왔어요. 전 이런 아이디어를 살려 2010년, 허파 꽈리 구조를 닮은 장기 칩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 에 ... ...
[특집] 액자 뒤 단서 - 미스터리 암호 푸는 방법은?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500자릿수가 넘는 소수로 RSA 암호를 만든다.괴팍한 수염 독수리 암호는 인터넷을 통해 푼
최초
의 암호로, 컴퓨터로 암호를 해독하는 일을 괴팍한 수염 독수리라고 할 정도로 암호계에서 매우 큰 사건이었다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