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과"(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점점이 태양 수놓은 수성의 여행과학동아 l2016년 06호
- 5월 9일 오전 7시 12분(미국 동부표준시), 주목할 만한 천문현상이 펼쳐졌다. 2006년 이후 10년 만에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인 수성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정확히 통과했다. 콩알만한 수성이 태양 위를 점점이 수놓았다. ...
- [과학뉴스] 오로라의 원인 ‘자기 재결합’ 첫 관측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난해 3월 발사한 지구자기권 다중스케일(MMS) 위성이 10월 16일 지구 자기장의 경계면을 통과하던 중 자기 재결합 현상을 포착했다고 밝혔다.자기 재결합은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큰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이다. 이론적으로만 알려져 있던 자기 재결합을 실제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PHMG와 CMIT, MIT 같은 성분은 크기가 초미세먼지(2.5μm)보다도 작아 모세혈관 벽을 손쉽게 통과한다. 특히 CMIT, MIT 성분은 PHMG보다도 수백 배 작은 나노미터 크기다.가습기 살균제 독성실험을 본격적으로 한 건 2011년부터다.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 연구원(KCL), 옥시레킷벤키저가 의뢰한 서울대·호서대 등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교환한다. 서버는 앨리스의 메시지를 다시 암호화해 보낸다. 즉, 네트워크 선로를 통과하는 메시지는 암호화된 것이지만, 서버에 저장되는 메시지는 원문 그대로다. 누군가 카카오톡 서버를 해킹하거나 카카오가 특정 집단에게 서버를 공개할 경우, 메시지의 원문이 다 노출되는 셈이다. 실제 지난해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때는 모두 흰색이에요. 그러다 이 알이 어미 몸속에 있는 ‘난관’이라는 통로를 통과할 때 껍질에 색소가 붙으면서 색이 바뀌지요. 푸른색을 띠는 색소와 갈색을 띠는 색소가 어떻게 섞이느냐에 따라 색이 달라진답니다.색과 무늬는 우선 주변 환경에 맞춰 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요. 나뭇잎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덮고 있는 투명한 각막을 통해 눈에 들어와야 돼요. 각막을 통해 굴절된 빛은 동공을 통과하고, 수정체와 유리체를 거쳐 망막에서 상을 맺지요. 그럼 시신경이 망막에 맺힌 상을 뇌로 전달해 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는 거예요.자, 이제 위에 있는 사자와 우리 그림을 보세요. 왼쪽에는 사자, ... ...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빛을 내뿜어요. 그러므로 전지에서 나온 전류가 흘러나와 전지와 LED 전구, 스위치를 모두 통과하도록 하나의 전선으로 연결해야 하지요.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양(+)극을 음(-)극과 연결하는 거예요.전지에서 양극은 전류가 나가는 쪽이고 음극은 전선을 통해 흐른 전류를 다시 받아들이는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류세를 공식적으로 도입할지를 두고 투표를 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무난히 투표를 통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지질시대 나누는 핵심, ‘생물’인류세에서의 ‘세(Epoch)’는 지질시대를 나눌 때 쓰는 시대 단위다. 지질시대는 지구에 아주 큰 변화가 있을 때 나뉘는데, 쥐라기, 백악기에서의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우주에 대해 읽었다. 항성계와 항성계 사이를 넘는 초광속 비행에 대해, 초광속 우주선이 통과하는 비상점에 대해 읽었다. 선생님이 살았던 본사가 있다는 마키옌데에서 이곳 코쇠까지는 최단경로를 최고속도로 달려도 표준시로 몇 주가 걸린다는 것을 알았다. 그 거리를 왕복하는 사이 세상의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지금까지 총 20마리의 복제탐지견을 생산했다. 이들은 높은 성적으로 훈련을 통과해 현재 인천, 김포, 제주 공항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도 2012년부터 지금까지 33마리의 복제견을 만들어 소방서와 군부대 등으로 보냈다. 올해 태어난 5마리는 공군과 경찰청, 관세청에 추가로 보낼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