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d라이브러리
"
필름
"(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박혀있는 다이아몬드를 연상케 했다. 약 6초간 2백50분의 1의 셔터스피드로 10여컷의
필름
을 소모했다. 완전히 태양의 모습은 사라지고 태양이 있던 자리에 검은 달의 뒷면이 대신 자리를 잡았다.흑태양 주위에 펼쳐지는 태양의 대기, 코로나의 모습은 우리와 주변 관광객의 탄성을 자아내기에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차이는 이 성운이 빛의 파장에 따라 모습이 다르기 때문이다. 사진은 적색 파장에 민감한
필름
이 주로 시용되며, 육안으로는 고리속의 노랑과 녹색의 가스를 민감하게 감지한다.성운 중앙에 있는 별은 1800년경 독일의 F. 폰한이 처음 발견했는데 15등급에서 16등급 사이로 변광하기 때문에 거대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관한 연구를 계속해오고 있다. 특히 달리는 동작과 점프에 대해 관심을 갖고
필름
분석 압력측정 수리해석 등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해 연구하고 있다.그가 사이 티픽어메리컨지 최신호에 밝힌 연구결과에 따르면 뿔을 가진 공룡 트리케라트라푸스의 속도는 9m/초 정도이며, 초식공룡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이 프로젝터는 슬라이드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설치하는 수고를 덜어 준다. 일본의 후지
필름
은 사진을 표준형 비디오플로피에 옮긴 뒤 텔레비전 화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값싼 기계를 내놓았다.전자스틸카메라의 선발메이커인 캐논은 이 카메라의 고객을 주로 업계에서 찾고 있다. 그중에는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쌍방향TV 형광조명 광섬유 자기녹음기(0.25인치 테이프 레코더가 등장한다) 마이크로
필름
스테인리스강 전자신문 태양전지 자동판매기와 야구의 야간조명장치에서 행성간 비행, 반중력, 사체의 냉동보존에 이르기까지 오늘날 사용하고 있거나 혹은 실현을 목표로 연구중인 무수한 기술들이 한꺼번에 ... ...
화상자료를 컴퓨터가 소화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그림이나 사진이 들어갈 자리를 비워놓고 출력해야 했으나, 스캐너를 사용하면 단번에
필름
상태로 출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스캐너의 구조는 매우 단순하다. 물론 깊숙이 이해하려면 내부적으로 정교하게 설계된 각종 센서와 전자장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어야 하지만, 일반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말끔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공씨는 기자와 만났을 때 "박대통령의 친서나 마이크로
필름
건은 당시 정황을 추측해 픽션으로 만들어 본 것"이라고 시인하면서도 "박대통령 사후 그의 메모록에서 이박사에 관한 짤막한 메모를 본 적이 있다"며 이를 근거로 '가상의 편지'를 집어넣게 됐다고 말했다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조리개를 좁혀서 f수를 2배, 3배로 하면 상의 밝기는 1/4, 1/9로 줄어든다. 카메라
필름
면이 받는 빛의 양은 f수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f수의 역수를 구경비라 한다.색수차(chromatic aberration)파장이 다른 빛은 매질을 통과할 때 굴절률이 다르다. 따라서 렌즈를 통과한 가시광선은 ... ...
깜빡 잊기쉬운 컴퓨터 액세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경우가 있다. 그러나 가격이 싸(1~2만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최근에는 얇은 편광
필름
을 유리나 아크릴 판으로 입혀 화면의 퍼짐현상을 제거한 편광 보안기와 멀티코팅 보안기가 개발돼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컬러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화면의 퍼짐으로 해상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 ...
1. 액정화면 내장배터리 칩세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키 자체의 크기도 작을 뿐아니라 키 사이의 간격도 작다. 또한 키를 최대한 얇게 하려고
필름
방식을 채택하다보니 기계식 키보드에 비해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느낌이 확실치않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이런 불만들은 무게와 부피를 최대한 줄인 데에 따른 어쩔 수 없는 결과이므로 사용자가 습관에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