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d라이브러리
"
학계
"(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최근 오이의 냉해 저항성이 멘델의 유전법칙을 따른다는 정반대의 연구결과도 국제 육종
학계
에 보고됐다. 정 교수는 “오이의 냉해 저항성 유전자는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라며 “성장하는 동안 각각 다른 시기에 냉해 저항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과일사과 - 해걸이 해결한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동식물이나 미생물의 유전자를 넣어서 만들어진 개체만 GM이라고 보는 게 현재 국제 육종
학계
에 규정된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특정 형질을 나타내기 위해 어떤 작물에 추가로 삽입된 유전자가 그 작물이 원래 갖고 있던 유전자면 GM이 아니라는 얘기다. 이는 그냥 분자육종 작물이다. 척박한 ... ...
한 달에 한 번 마녀 되는 '두 얼굴'의 여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뒤 이틀째까지 감정이 급격히 변하는 현상을 ‘생리전 증후군(PMS)’이라고 부른다”며“
학계
에서는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 같은 여성호르몬의 농도가 급격히 변화해 감정의 기복도 심해진다고 추측한다”고 설명했다. 폐경기 때 우울증이나 조울증에 걸릴 확률이 증가하는 일과 비슷하다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D형간염 바이러스는 희한하게도 B형간염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만 감염된다.
학계
에서는 D형과 B형 바이러스가 공생하는 관계라고 보고 있다. 다행히 국내에선 아직 D형간염 바이러스가 발견되진 않았다. 주로 그리스나 이탈리아 같은 지중해 주변지역에서 나타난다.A형간염 환자가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전체 매장량은 약 100만t. 이 정도면 지구 전체에 수천 년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는 게 과
학계
의 분석이다. 수백℃의 고온으로 달 표면을 가열해 헬륨3을 추출한 뒤 우주선에 저장해 지구로 가져오는 방식이 논의된다. 2004년 미국 행성지질학연구소 로렌스 테일러 소장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 ...
“참여·공유 내건 학술지, 온라인 오픈”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말했다. 과학저널에 새바람을 몰고 올 IBC와 편집장 남 교수의 행보가 주목된다. 과
학계
그랜드슬램 달성한 비결 “시골에서 자라 어릴 적부터 식물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특히 식물이 성장하는 데 빛이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늘 신기하게 생각했죠.” 이런 관심 덕분에 남 교수는 학문의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셈이다. 제 단장은 “X선 영상기술은 나노과학과 생명과학의 발전을 이끌 뿐 아니라 과
학계
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 중심에우리 연구단이 있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고등부 대상) - 다윈이 말하는 "사랑하세요"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마음으로 동참하게 됐다. 이처럼 세상에는 분명 이타심이 존재한다. … (중략) … 현재
학계
에서 인정받고 있는 인간의 이타적 행위에 대한 주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주장은 바로 리처드 도킨스의 유전자 선택설이다. 그는 이타적인 행위란 이기적 행위의 일부에 지나지 ... ...
점점 작아지는 베텔게우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원래 크기의 100배까지 부풀었다가 폭발을 일으키거나 붕괴해 블랙홀이 되는 것으로 천문
학계
에서는 추측하고 있다.흥미로운 건 비록 작아지긴 했지만 밝기가 크게 줄어들지는 않았다는 점. 연구팀은 ISI를 비롯한 관측 장비를 개선해 베텔게우스의 지름이 줄어드는 패턴을 알아내겠다는 계획이다 ... ...
세포 시계 되돌려 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탁월한 능력 때문이다.발생 초기로 되돌린 역분화 줄기세포2006년 8월 세계 생물
학계
와 의
학계
가 술렁였다. 일본 교토대 신야 야마나카 교수팀이 세포생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한 한 편의 논문 때문이다. 이 논문은 수년 간 큰 진전이 없었던 줄기세포 연구에 명확한 전환점을 제시했다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