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원리"(으)로 총 1,0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마술쇼를 준비하라!놀이터 l20180312
- 모든 실험에 도전하는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번 주제는'과학 마술쇼'예요~. 과학 원리만 잘 알고 있으면 화려한 손놀림이 없어도 신기한 마술을 가족들과 친구들에게 보여 줄 수 있답니다! 동영상을 통해 비법을 확인해 보세요~! 마술 1. 물을 마음대로 조종하는 물병 만들기! 마술 2. 모래 속에서 검은 용 소환하기! 여 ...
- 강화 소리체험 박물관에서 소리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아요!기사 l20180305
- 있는 곳은, 헬렌 켈러 사진이 있는 곳으로, 소리를 몸으로 느끼는 체험입니다. 헬렌 켈러는 소리를 들을 수 없었다고 해요. 그런데, 이 원리로 듣는 대신 소리를 느꼈어요. 여러분도 쉽게 체험할 수 있는데요, 쇠 숟가락 1개에 긴 실을 연결해서 양 쪽의 길이를 똑같이 하여 양 쪽 귀에 갖다 대고, 쇠숟가락을 치면 소리가 귀에 진동으로 느껴져요. ...
- 동계 스포츠 속의 과학 원리를 알아보자! - 과학으로 만나는 평창 올림픽기사 l20180304
- 지난 주말인 2월 25일, 저는 1월 5일부터 3월 18일까지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리는 특별전시를 보러 갔습니다. 이번에는 특별하게 태국 치앙마이대학 물리학과 교수님이신 Suwitcha Wannawichian 교수님(이하 Suwitcha 교수님)과 함께 방문 ... 교수님과 함께 와보아서 더욱 뜻깊고 좋았습니다. 이번 특별전시는 동계 올림픽 시즌에 맞추어서 ...
- 기사^^포스팅 l20180302
- 제가 어제 기사 게제됬는데 기사 좀 봐주세요~^^ 제목은 '인형뽑기 원리를 찾아라!' 일 거에요! 기사 및에 댓글 달아주시면 추천 해 드릴께용^^ ...
- 인형뽑기의 원리를 찾아라!기사 l20180301
- 더욱 재미있습니다. 이렇게 조금만 준비를 한다면 집에서도 쉽게 인형 뽑기를 할 수가 있답니다. 그렇다면 인형 뽑기 기계는 무슨 원리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일까요? 인형 뽑기를 하는데 필요한 장치들을 몇 가지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조이스틱 조이스틱은 집게를 위, 아래, 앞, 뒤, 양 옆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2. 크레인 크레인은 ...
- 백남준아트센터에 가다!기사 l20180205
- 최유빈 기자입니다.! 제가 지난달 백남준 아트센터를 가보았습니다. 백남준아트센터는 원리를 모를것 같은 신기한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백남준아트센터에는 여러 가지 체험과, 볼 것이 많습니다. 그리고 백남준아티스트는 여러 가지 다양하고 여러가지 생각을 작품에 표현한 것 같았습니다. 백남준 아티스트는 악기를 연주하는 방법 말고도 다른 방법이 ...
- DIY. 물레방아로 내 방을 쾌~적하게!!기사 l20180119
-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작동하는 물레방아동영상) 오늘 기사에서는 물레방아의 원리를 알아보고 물레방아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지금까지 서담덕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초간단 급수기 만들기!!포스팅 l20180116
-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이번에는 자판기가 아닌 급수기를 만들었습니다.이 급수기의 원리는 원래 기압 때문에 작은 구멍으로는 나오지 않는 물이 치약 뚜껑을 열면 공기가 들어가 물이 나오는 구조입니다.그래서 공기 개폐 장치를 치약 뚜껑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다음에는 무엇을 만들까요??여러분의 답변을 기다리 ...
- 겨울철 내리는 눈의 비밀!기사 l20180114
- 같지 않을까요? 눈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눈에는 여러 종류가 있어요. 눈송이가 작으면 춥고, 눈송이가 크면 따뜻하다는 원리도 있죠. 눈의 종류에는 함박눈, 가루눈, 싸라기눈, 마지막으로 진눈깨비가 있어요. 함박눈은 날씨가 따뜻하고 습도가 높을 때, 그리고 바람이 적은 날 오는 눈인데요. 습기가 많아 잘 뭉쳐져 아이들이 가장 좋아할 만한 ...
- 물의 전기분해 실험을 해보자!!기사 l20180114
- 다시 전기 에너지를 만듭니다. 그래서 LED 전구가 켜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쓰면서 직접 집에서 실험도 해보니 과학원리가 글만 읽는 것보다 더 쉽게 느껴져서 좋았고, 책에서 사진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결과를 보아서 신기했습니다. 다음에도 또 다른 실험을 해보고 싶습니다. 이상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김소윤 기자였습니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