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중국"(으)로 총 3,812건 검색되었습니다.
- guest - 211129 - 1탐사기록 l20211129
- 2021. 11. 27. 우포늪 우포늪에서 따오기를 보고 왔습니다. 과거에 많았다고 알려진 따오기 입니다. 1979년 판문점에서 발견된 개체를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멸종된 새였습니다. 그러나 2008년 중국으로 부터 따오기를 들여온 뒤 2019년부터 야생 방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직 개체수가 많진 않지만 언제가 옛날처럼 따오기 ...
- 퓌요오오~ 겨울에도 우는 겨울 철새가 있다고?!기사 l20211126
- ^. 다리가 붉은색이라니, 신기한 것 같아요~!! 또 황새는 흔히 갯벌에서 물고기와 작은 동물을 먹이로 먹는다고 합니다^^. 러시아와 중국 사이에서 번식을 한다고 해요! 4월에 번식지에 도착하여 새 둥지를 짓거나 옛 것을 수리하여 사용하는 습성이 있다고 합니다~^^. 황새들은 이행시기에는 쌍 또는 작은 무리로 1~2일씩 머물러 있다가 날아간다 ...
- MBTI, 유형부터 알고 직접 해보자!기사 l20211125
- 협동을 잘하는 사람입니다. ENTJ는 리더십이 있고 다른 사람을 잘 인도합니다. 이렇게 MBTI의 유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는데요. 중국의 손자병법에는 '나를 알고 너를 알면 백 번 싸워 위태롭지 않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자기의 유형에 대해 잘 아는 것이 자기를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길이 아닐까요 ... ...
- 어라, 맛있어! 세계 여러나라의 디저트가 있다고?!기사 l20211124
-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제사를 지낸 다음에 먹었으며 추석에 월병을 먹으면 한 해 동안 행복해 진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하네요! 더불어, 중국에서는 '탕후루' 라는 것을 디저트로 먹기도 한답니다~. 탕후루란, 산사나무 열매를 막대에 꿰어 달콤한 시럽을 묻혀 먹는 음식이예요! 월병보다 더 맛있어보이네요 ㅎㅎ. 요즘은 교류가 활발하니, 쉽게 사먹을 수 있 ...
- 〈11월 기억한 DAY〉 11월 22일 김치의 날기사 l20211124
- 알릴 수 있는 등 새로운 김치 프로젝트를 같이 진행해 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우리의 자랑스러운 김치를 중국으로부터 잘 지키고 무엇보다 우리의 김치를 자기 스스로 소중하게 다루고 사랑하면 좋겠습니다. ... ...
- 우리의 소중한 보물, 갯벌의 종류와 생물들!기사 l20211120
- 것이다. 물고기, 개구리, 수생곤충 등을 먹어요.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경계심이 강합니다. 5월에 알 4~6개를 낳습니다. 한국, 중국, 일본, 홍콩, 대만 등에 분포해요. 전 세계적으로 5200여 마리밖에 남지 않은 멸종위기종 1급입니다! 와, 잘 지켜야겠군요! 대한민국에서는 노랑부리저어새와 함께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하여 보호 ...
- 우리에게 친근한 새가 공룡일 수도 있다고?!기사 l20211120
- 없답니다. 바로 깃털인데요. 깃털이 없다면 과연 둘이 같다고 볼 수 있을까요? 그렇게 많은 과학자들이 고민에 빠져 있을 무렵 1996년 중국 동북부 랴오닝 성에서 아주 기쁜 소식이 들려옵니다. 바로 깃털 달린 공룡을 발견했다는 것입니다! 이 공룡의 이름은 시노사우롭테릭스 화석을 보면 머리부터 목줄기, 꼬리까지 깃털이 연결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 ...
- 피타고라스 정리는 왜 '피타고라스' 정리가 되었을까?기사 l20211114
- 불렸을까요?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피타고라스가 이 공식을 '식'으로 나타냈습니다.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이나 중국인들이 피타고라스가 이 공식을 발견하기 전부터 이 공식을 알고 있었던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알고 있었을' 뿐이고, 이를 식으로 자세히 정리한 것은 피타고라스에요. 구고현의 정리는 밑변을 구, 높이를 고 ...
- 늑대와 DNA가 가장 비슷한 개 TOP 7기사 l20211114
-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2위) 차우차우 중국어로 복슬복슬한 사자 개라는 뜻을 가진 차우차우는 사냥견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중국 당나라 어느 황제는 차우차우를 5천마리나 소유했다고 합니다. 생긴 것과 다르게 고집이 세고 주변에 다소 무관심한 면이 있으며 가족들에는 헌신하지만 낯선 이들은 경계합니다. 어릴 때 사회화시키고 철저히 ...
- 충우곤충박물관에 가다!!기사 l20211113
- 했는데,다른 아종은 국명이 로치넵튠장수풍뎅이 입니다. 국명:장수풍뎅이 학명:Trypoxylus dichotomus dichotomus 몸길이:27-75mm 서식지:한국,중국,일본,대만,태국 암컷과 수컷이 섞인 형태인 자웅모자이크 장수풍뎅이 입니다. 자웅모자이크는 사육하다가 생겨난 개체 수가 많습니다. 사육하다가 습도,온도가 이상하면 애벌레가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