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명
창안
구상
착상
궁리
연구
창시
뉴스
"
고안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 약 한 번 잡숴봐~ 운동 효과 제대로네
2015.10.04
몸속 분자의 반응 경로를 다수 알아내면서 운동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
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체내에 약물을 투입해 운동 시 반응하는 분자를 자극해 실제 운동 효과를 내는 ‘운동 알약(Exercise Pills)’이 각광받고 있다. 땀 흘리며 직접 운동하지 않고도 운동 효과는 동일하게 얻을 수 ... ...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9가지 기술
2015.09.11
NASA는 화성의 거친 환경을 잠시 피해 갈 수 있는 ‘화성 집’으로 ‘헤라(HERA)’를
고안
중이다. 헤라는 돔 형태의 2층짜리 막사로 내부는 거주시설과 위생시설, 작업실 등으로 이뤄졌다. 이곳에서 우주인들은 14일 동안 머물 수 있다. 화성 집에 조명을 켜고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동력은 ... ...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8.31
극복한 것이 자기공명방식이다. 자기공명방식은 2007년 미국 MIT 마린 솔랴사치 교수팀이
고안
한 것으로 송, 수신부에 추가적인 공진코일(입력코일, 부하코일 등)을 사용해 먼 거리까지 전력을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다. 송신부 코일에서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만들어내면, 동일한 공진 ... ...
수학으로 ‘생체리듬’ 설계했더니, 실제로 움직여
2015.08.28
생명체가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리듬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주는 생물학적 회로를
고안
했다. 유전자와 단백질을 변수로 삼아 일종의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만든 것이다. 베닛 교수팀은 김 교수의 알고리즘을 이용해 유전자와 단백질을 인공적으로 만든 뒤 대장균에 집어넣어 인공 미생물을 ... ...
그룹 ‘클론’ 출신 구준엽, 아이폰 분해하는 까닭은
2015.08.21
않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신발에 센서를 넣어 걷는 자세를 측정해 주고 교정하는 신발을
고안
했는데, 이제 직접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생활용품 디자이너인 권민주 씨는 ‘메이커(Maker)’다. 메이커란 기존의 일방적인 소비자 역할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물건을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 ...
세포 자정작용 이용…신개념 항암 치료법 나왔다
2015.08.19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암 조직으로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분자 코팅법을
고안
해 RNA 전달체를 제작했다. 이를 활용하면 정맥주사를 맞는 방식으로 손쉽게 치료할 수 있는데다 효소를 이용한 방법인 만큼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기존 약물 보다 수 백 배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안 ... ...
생각만으로 로봇 움직이게 만든다
2015.08.19
뇌파를 정밀하게 분류하는 소프트웨어와 이를 이용해 외골격을 조종하는 시스템을
고안
했다. 이를 위해 하체 보조 외골격 로봇 위에 서로 다른 주기로 깜빡이는 발광다이오드(LED)를 5개 설치했다. 또 사용자가 LED를 응시할 때 소프트웨어가 LED 주기에 따라 달라지는 뇌파를 해석해 명령을 내리게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동작인식 센서인 ‘키넥트(kinect)’를 이용해 가상현실 속 사물을 조작하는 방법을
고안
했다. 우선 3D 텔레비전 3대를 연결한 뒤 그 위에 센서 2개를 설치했다. 그런 다음 거울로 3D 텔레비전에서 나오는 영상을 비춰 센서에 가상공간의 좌표를 입력했다. 센서가 실제 공간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동작 ... ...
화학전지+태양광=하이브리드 전지
2015.08.03
일체형으로 부착해서 충전할 때 전기와 태양에너지를 동시에 활용하는 방법을
고안
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요오드화리튬전지 윗부분에 색소를 이용해 태양빛을 흡수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부착했다. 그런 뒤 태양광 패널에서 생성된 전자가 요오드화리튬이 녹아 있는 물을 타고 이동하게 ... ...
“반역자가 돼야 과학을 할 수 있다”
2015.08.02
0년 만들어졌다. 사람을 몸무게만 가지고는 적당한지 판단할 수 없어 키를 반영한 공식을
고안
했던 것이다. 그는 개인의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누면 개인별 키 차이가 나름 합리적으로 반영된다고 봤다. 결국 BMI는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이를 광범위하게 적용해 체중과 여타 인구통계학적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