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뉴스
"
금속
"(으)로 총 2,21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PCR 안하고 색 변화로 바이러스 감염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07
Gires Tournois)라는 공진구조를 통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가장 밑에 반사율이 높은
금속
판을 놓고 그 위에 자유롭게 광학특성을 변조할 수 있는 다공성 복소굴절률 층과 굴절률이 낮은 또 한 개의 층을 차례로 쌓았다. 그 결과 공진구조 위에 1.5의 굴절률을 갖는 물질이 놓여졌을 때 색의 차이가 ... ...
호암상에 오용근·장석복·차상균 교수 등 5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4.06
촉매를 이용해 반응성이 낮은 탄소·수소 결합(C-H) 분자를 고부가가치 물질로 바꾸는
금속
촉매반응을 개발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그가 개발한 고효율 촉매 합성법은 현재 전세계 연구자들이 활용하고 있으며 향후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가능성이 높다. 차상균 교수는 하드디스크에 ... ...
폐기물 도시광산에서 금 99.9% 회수하는 소재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5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관련 산업 공정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며 “수중
금속
자원을 회수하는 데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 지난달 4일자에 공개됐다 ... ...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에 김창경·현택환 교수 하마평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인수위 대변인 등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창경 교수는 서울대
금속
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세라믹재료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해 1997년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에 임용됐다. 김창경 교수는 지난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2008년부터 1년간 대통령 ... ...
[인터뷰]"자원전쟁 시대, IoT·AI 등 스마트마이닝 도입해 핵심광물 자립화 나설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개발 기술을 담당하는 ‘광물자원연구본부’와 폐배터리 등 핵심원료 재활용과 희소
금속
활용 기술 실용화를 전담하는 ‘자원활용연구본부’로 확대 개편했다. 이 원장은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자원탐사가 국내외, 우주에서 이뤄질 수 있는 기반을 닦아 놓겠다”고 말했다 ... ...
[과학게시판] 지질연-경동, 타이타늄 광산 공동개발 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01
지질연 제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난 30일 광산개발 전문기업 경동과 희소
금속
타이타늄 광산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지질연은 시추탐사 위치선정과 자원량 산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동은 시추공사 착수 전 산림형질변경 인허가, 시추위치조성 등 시추탐사에 필요한 ... ...
고가 희토류 30% 줄이고도 전기차 모터용 영구자석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9
저감형 영구자석 소재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금속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스크립타 머티리얼리아’ 지난 17일 자에 게재됐다. 네오디뮴은 고가에 수급이 매우 불안정하지만, 희토류 영구자석의 성능 구현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선택의 여지 없이 ... ...
고순도 정밀 의약품 원료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9
너무 낮아 연구용으로 주로 사용됐고 제약과 산업에는 적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금속
3차원(3D) 프린팅 기술과 전산설계(CAD) 기술을 융합해 미세 반응기를 고층 아파트처럼 층층이 여러 겹으로 쌓아올려 대량생산용 미세반응 시스템을 제작했다. 16개의 미세 반응기를 머그컵 크기의 일체형 ... ...
국내 연구진 장수풍뎅이 모방해 반응속도 1만배 빠른 광학 습도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8
얻어 두 개의
금속
판 중 하나를 나노
금속
입자들을 합쳐 만들었다. 수많은 나노
금속
입자를 판형태로 만든 결과 사이사이에 수많은 구멍이 생겼고 이 구멍으로 수분이 더 빠르게 흡수되거나 증발했다. 센서의 반응속도가 기존보다 1만배 빨라진 성과를 거뒀다. 노 교수는 “이 센서는 나노물질과 ... ...
[과학게시판]에너지연 개발한 연료전지 핵심부품 기술이전으로 국내서 대량생산 시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25
기체를 직접 전극에 주입하는 기체 확산 전극을 사용해 암모니아를 생산했으며, 비싼 귀
금속
촉매 대신 값싼 철 촉매를 이용해 상온과 상압 조건에서 기존보다 100배 이상의 전기화학적 암모니아 생산 속도를 기록했다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