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꽃
파생
화염
폭발
뉴스
"
분화
"(으)로 총 889건 검색되었습니다.
속 캐릭터 츄바카를 닮은 신종 바구미
2016.05.07
이 연구는 온라인 공개 학술지 “주키스(Zookeys)”에 발표되었습니다. 종
분화
*(speciation): 하나의 종이 서로 다른 진화의 경로를 거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종으로 분지되는 과정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 ...
불의 고리
과학동아
l
2016.05.02
그런 틈새로 마그마가 분출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아소산에는 마그마가 뿜어져 나오는
분화
구가 이미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일본 당국은 아소산을 주의 깊게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우연은 언제든 반복될 수 있고, 우리는 그것이 언제 닥칠지 알 수 없으니까요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근육은 기다란 섬유로 된 조직이기 때문에 세포 하나가 굉장히 크다. 즉 근육줄기세포가
분화
할 때 서로 융합하면서 하나의 거대한 근육세포로 바뀌는데, 이 과정에서 세포핵은 그대로 남아있어 이런 상태가 된다. 그런데 세포핵이 한 개이거나 백 개이거나 담고 있는 게놈정보는 똑 같은데 왜 ... ...
[Health&Beauty]암 사망률 1위 폐암 잡는 ‘면역항암제’
동아일보
l
2016.04.20
아니라 제초제가 뿌려지는 꽃과 흙 모두에 영향을 미치죠. 화학항암제는 빠르게
분화
하는 암세포를 공격해 이를 없애지만, 정상세포 또한 파괴합니다. 화학항암제를 이어 나온 표적항암제는 특정 잡초만 없애는 제초제입니다. 따라서 화학항암제보다 선택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합니다. 하지만 이 ... ...
[日 구마모토 대지진] 지각판 붕괴가 원인, ‘불의 고리’ 연쇄지진 촉발
2016.04.17
발생할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번 지진이 대규모 화산
분화
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진원 인근에는 아소산(阿蘇山)과 나가사키(長崎)현 운젠다케(雲仙岳) 등 활화산이 있기 때문이다. ●에콰도르, 대만 등 지진 연이어 발생 이번 지진은 일본에서만 ... ...
진화하는 암세포와 싸워 이기는 방법
2016.04.17
토리노대 교수는 “암은 (항암제에) 계속해서 적응하고 있다”며 “암의 진화와
분화
를 쫓기 위한 데이터가 계속해서 축적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 증거 중 하나가 찰스 스완톤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연구원 팀이 3월 ‘사이언스’에 발표한 연구 결과다. 당시 연구팀은 폐암 환자 1000명을 ... ...
‘살찌는 체질’ 결정하는 유전자 찾았다
2016.04.15
분화
를 억제하는 ‘윈트(Wnt)’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지방세포의
분화
를 촉진했다. 한 교수는 “유전자 수준에서 비만이 유도되는 과정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유전자 발현으로 지방세포의 수를 조절해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 ...
오줌의 대변신…자기 복제하고 맞춤형 화장품까지
2016.04.15
유전자를 골라 정상으로 돌려놨다. 교정한 줄기세포에서 혈액응고인자를 만드는 세포로
분화
시킨 뒤 중증 혈우병에 걸린 쥐에게 이식했다. 그 결과 혈액응고인자 분비가 늘어나 혈우병이 경증 수준으로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동욱 교수는 “지금까지 환자의 세포를 얻으려면 귀 뒤의 ... ...
다운증후군 뇌기능 저하 메커니즘 최초 규명
과학동아
l
2016.04.08
분석했다. 그 결과 다운증후군 환자의 경우 신경아교세포의 일종인 희소돌기 아교세포의
분화
가 정상인에 비해 늦고, 그로 인해 ‘미엘린’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엘린은 뇌 신경세포를 둘러싼 백색 지방질 물질로, 신경세포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보호해 정보를 ... ...
나노 기술 이용해 당뇨 치료 돕는다
2016.04.05
췌장세포로 잘
분화
되게 하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인슐린을 만드는 세포의
분화
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인 만큼 치료 비용을 낮춰 당뇨병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ACS 나노’ 지난달 22일자에 실렸다.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