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깔
색상
색채
색깔
컬러
칼라
색조
뉴스
"
색
"(으)로 총 1,62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시도할 것이다. 앞의 세 단계를 통과한 청소놀래기는 거울에 비친 모습에서 턱의 갈
색
반점을 보고 아래 있는 돌에 턱을 문질러 반점(기생충)을 떼어내려고 했다. 거울 마크 테스트도 통과한 것이다. 그렇다면 청소놀래기에게 ‘거울 마크 테스트 클럽’의 정회원 자격을 줘야 할까. 흥미롭게도 이 ... ...
[프리미엄리포트]초콜릿
색
깔의 완결판 '핑크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비밀도 분자생물학적으로 밝혔다. 어떤 화합물들을 어떤 비율로 섞을 때 최상의
색
깔과 풍미를 내는지 확인해 루비 초콜릿 레시피를 완성했다. 하지만 이는 루비 초콜릿의 영업비밀에 해당해 연구 결과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5세대 초콜릿은 ‘맞춤형 초콜릿’ 배리칼리보는 현재 벨기에 ... ...
진주서 발견된 세계 최대급 ‘공룡 발자국 화석지’ 사라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일단 기록이나마 남길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원본’을 잃는 아쉬움은 여전하다.
색
깔별로 표시된 발자국은 각각의 개체가 걸은 흔적을 연결한 ‘보행렬’이다. 중간에 움푹 파인 부분은 현 지층이 아닌, 두 지층 위의 용각류 발자국에 의해 눌린 자국이다. 진주=윤신영 기자 오후 3시. 화석 ... ...
파란
색
깔 닭 ‘화제’
팝뉴스
l
2019.01.26
어떨까 궁금증을 드러내는 댓글도 보인다. 답변한 네티즌들의 의견을 보면 살이 파란
색
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중론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불명예를 뒤집어 쓴 반려견
팝뉴스
l
2019.01.24
제공 검은
색
개가 왕관을 쓰고 있다. 직접 만들었을 리는 없고 주인이 만들어서 씌워진 것이 분명하다. 재미있는 웃음 포인트 하나는 주인이 왕관에 적어 놓은 문구다. 노란 종이를 오려 만든 왕관에는 불명예스러운 글귀가 보인다. 번역하면 “방귀의 왕”이다. 방귀를 너무 자주 뀌니까 주인이 ... ...
흡연이 얼마나 해로운지 보여주는 사진
팝뉴스
l
2019.01.22
천장의
색
을 누렇다. 당연히 담배 연기 때문이다. 담배 연기는 사람 폐도 저렇게 변
색
시키지 않을까. 해외 네티즌들은 사진 덕분에 담배 연기가 얼마나 해로운지 한눈에 알 수 있다고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세계 첫 인공 유성우 2020년께 일본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색
을 내는 리튬, 초록
색
을 내는 구리, 노란
색
을 내는 나트륨, 주황
색
을 내는 칼슘, 파란
색
을 내는 세슘 등 화합물마다 반응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했다. 인공 유성우 밝기는 -1등성 정도로 2등성인 북극성과 -1.5등성인 시리우스의 중간 정도이다. 밤하늘에서 사람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 ...
UNIST, 접는 천연
색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전자이동도가 높고
색
순도가 좋으며
색
조절도 간편해 디스플레이에 천연
색
이미지을 표현할 수 있다.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바뀌는 부분을 뜻하는 ‘활성층’으로 페로브스카이트를 활용하는 PeLED가 많이 개발됐다. 기존 PeLED는 금속 전극의 한계로 유연성이 낮고 불투명했다. 연구진은 ... ...
국내 나노 학술지 ‘나노 컨버전스’ SCIE 등재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국내에서 발간되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가 과학기술 분야의 대표적인 인용
색
인 데이터베이스인 'SCIE'에 등재되는 데 성공했다. 나노 분야 국내 학술지가 SCIE에 등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나노기술연구협의회가 발간하고 있는 학술지 ‘나노 컨버전스’가 2019년 ... ...
21일 뜨는 '슈퍼 울프 블러드문'…한국선 직접 못봐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유사한 개념이다. 유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아메리카 인디언 또는 앵글로
색
슨족 문화에서 비롯된 이름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날씨가 추운 1월에 굶주린 늑대들이 마을 근처로 와 자주 울었고 야행성인 늑대가 울음소리가 더 멀리 전달되도록 머리를 들고 우는 것을 달을 향해 울부짖는다고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