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발전소 설비·부품 변형 파동 자동 측정해 사고위험 막는다
연합뉴스
l
2020.11.10
현상)나 고장 징후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은 작은 탄성파를 발원
지점
에서 증폭하는 '프리엠프'다. 탄성파는 물질이 변형되거나 끊어질 때 발생하는 파동이다. 김 박사팀은 측정을 방해하는 소음 차단 수준이 선진국 제품과 같으면서 높은 측정 감도를 가지는 프리엠프 ... ...
일본의 첫 우주공항 후보지는 '도쿄항'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도시 우주정거장은 홍콩에서 로스앤젤레스까지 1시간 내로 비행하는 것과 같은
지점
간 우주비행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스페이스포트와 같은 개념적 프로젝트가 비즈니스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대중을 교육하는 토대를 마련하기 원한다”고 말했다. 스페이스포트 재팬은 우주 ... ...
[주말N수학]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을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11.07
하고 있었습니다. 어느날 자신의 취미인 루빅스 큐브 맞추기를 하고 있는데, 문득 ‘각
지점
에 수를 대응시키면 어떨까?’라는 질문이 떠올랐습니다. 실제로 수를 대응시킨 뒤 세 가지 방법으로 큐브를 자르고 배열한 수를 이용해 새로운 연산 법칙 13개를 알아낼 수 있었죠. 기존 가우스의 연산 ... ...
19세기 화가들, 18세기 화가보다 높은 곳에 수평선을 잡았다
2020.11.05
오른쪽)의 차이. 고갱과 르느와르의 풍경화는 공통적으로 수평선이 위로부터 3분의 1
지점
에서 나타난다. 반면 18세기 풍경화는 수평선이 캔버스 아래쪽에서 나타난다. 정하웅 교수 제공 연구팀은 예술가별로 주로 사용하는 화면 분할 비율을 계산하고 비슷한 값끼리 모았다. 그 결과 대체로 같은 ... ...
도심 곳곳 누비며 위험한 생활 환경 감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5
날에도 왕복 8차선 도로와 인접한 건설연 내부
지점
미세먼지 농도가 다소 떨어진 다른
지점
들보다 약 1.6~2.0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역 단위 미세먼지 정보가 아닌 실제 생활 주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정보를 보다 자세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지난 4일 ... ...
10월 발생한 태풍 7개…28년만에 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4
0월 발생한 태풍 7개의 이동 경로. x표시가 태풍이 사라진
지점
이다. 기상청 제공 기상청은 제19호 태풍 ‘고니’와 제20호 태풍 ‘앗사니’를 포함해 10월에 발생한 태풍이 총 7개라고 밝혔다. 1951년 이후 10월에 발생한 태풍 수 중 가장 많은 수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 10월에 발생한 평균 태풍 ... ...
인류 ISS 입성 20주년…무중력 실험 가능한 천상의 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3
공기누출은 러시아 구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며 러시아우주공사는 “정확한 유출
지점
을 찾아내 봉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NASA는 지난달 27일 20가지의 브레이크 스루를 발표하며 “ISS은 장기간의 미세중력 연구를 할 수 있는 유일한 실험실”이라며 “지난 20년동안 ISS는 수 많은 발견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어두운 곳으로 옮긴다. 그런데 개미는 스펙트럼의 보라색이 막 끝나 사람 눈에는 어두운
지점
을 지나 보라색과 좀 더 떨어진 어두운 곳에 애벌레를 놓았다. 심지어 보라색 바로 옆 어두운 공간과 빨간빛 공간만 있을 경우 빨간빛을 택했다. 러벅은 개미가 사람은 볼 수 없는, 보라색보다 파장이 약간 ... ...
혜성 위 굴렀던 탐사선 "혜성 표면 카푸치노 거품처럼 부드러워"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부분이 옆 바위에 걸렸다. 뒤집힌 필레는 바위 윗면을 다시 머리로 누른 후 세 번째 낙하
지점
으로 날아갔다. 이 과정을 거치는 데 약 2분이 걸렸다. 연구팀은 필레의 자기 센서가 움직인 시간과 혜성 표면이 25cm 파이는 데 걸린 시간을 비교해 혜성 표면의 강도를 계산했다. 그 결과 표면의 압축 ... ...
[과학자의 서재]케임브리지대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생각' 던진 책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파격적으로 그린 소설이다. 중독의 나락으로 빠져 가는 이들을 건조하게 묘사한
지점
이 코카인 중독과 재발 방지에 대한 그녀의 학위 논문을 완성하는 원동력이 됐다. 밀턴 교수는 “이 책은 중독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며 “중독과 그로 인한 결과가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