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스페셜
"
게
"(으)로 총 3,15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토막 과학상식]AI와 자율주행의 시대, 왜 ‘3진법 반도체’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AI),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등에 대한 기술 수요가 늘면서 대규모 정보를 빠르
게
처리하는 고성능 반도체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지만 2진법 기반의 반도체 소자는 단위면적당 집적도 향상을 위한 물리적 한계에 봉착한 상태다. 이에 따라 최근 학계에서는 이를 해결할 대안으로 3진법 반도체 연구가 ... ...
구글 딥마인드AI, 인간 단백질 2만개 구조 모두 예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이것이 AI가 현재까지 과학 지식을 발전시키는 데 행한 가장 중요한 기여이자 AI가 인류에
게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의 훌륭한 예라고 믿는다”며 “이러한 통찰력은 생물학과 의학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서 많은 흥미진진한 미래 발전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바이러스 독해질수록 '보건용 마스크' 써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마스크의 경우 차단 효과가 5배나 증가했다. 연구팀은 마스크를 착용할 때 얼굴에 맞
게
밀착해야 하며, 머리를 움직일 때 마스크가 벌어지지 않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식약처 제공 식약처 제공 식약처 제공 ... ...
임신부 코로나19 백신 언제 맞나...미영 접종 착수 불구 방역당국 "안전성 근거 못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MIT) 연구팀도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임신부와 수유부가 태반과 모유를 통해 아기에
게
항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냈다. 또 임신부가 코로나19 백신을 맞아도 임신하지 않은 사람보다 심각한 부작용이 커지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지난 12일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연구팀이 ... ...
16세 미만 청소년 코로나19 백신 맞아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세계에서 에방접종률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다. 칠레는 현재 12세 이상 청소년에
게
도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선 고위험군을 위한 충분한 백신을 확보하지 못한 국가들을 고려해 아동·청소년 백신 접종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 ...
50∼52세 접종예약 '대기'에 '튕김'까지…접속장애 되풀이(종합)
연합뉴스
l
2021.07.21
1∼2학년 교사와 돌봄 인력 대상의 접종 예약이 시작된 지난 8일 0시부터 2시간 넘
게
접속 장애가 발생했고, 55∼59세 대상 예약이 처음 시작된 12일 0시부터 수 시간 동안도 접속이 지연됐으며 같은 연령층의 접종이 재개된 14일 오후 8시께부터도 같은 문제가 나타났다. 전날에는 53∼54세 예약 시작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사람은 더위를 어디까지 견딜까
2021.07.20
그런데 지구온난화 속도를 늦추려면 온실가스 배출을 대폭 줄여야 하고 정부는 그렇
게
하겠다고 세계에 약속한 상태다. 에어컨 가동이 쾌적함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에너지를 많이 쓰는 중화학 산업을 포기해야 하는 걸까. ‘진퇴양난(進退兩難)’이란 바로 이런 경우를 두고 ... ...
사상 초유의 청해부대 집단감염…선박은 왜 코로나에 취약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노로바이러스 등 사람간 전파가 잘 이뤄지는 감염병은 어김없이 선박 내에서 전파가 쉽
게
이뤄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밀폐된 선상 환경은 계속해서 호흡기 감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선상 호흡기 감염병은 1966년 미 해군 구축함에서 350명이 결핵에 감염된 것을 시작으로 2009년 대형상륙함에서 H1N1 ... ...
코로나 백신 딜레마…"선진국은 거부감 높고, 빈국은 공급 부족"
연합뉴스
l
2021.07.19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개발도상국 정부들은 보건 종사자 같은 신뢰받는 사람들에
게
백신 부작용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에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원자 두께 2차원 반도체 쌓아 초격자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물질은 층과 층 사이 약한 공유결합이 생겨 박막이 균일하
게
쌓이지 않아 3층 이상 쌓는
게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접합 기술을 연속으로 써 서로 다른 원자층 반도체가 9층까지 반복되는 반도체 초격자 구조를 처음 구현했다. 금속 박막을 만드는 금속유기화학증착법을 이용해 2차원 반도체인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