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스페셜
"
상용
"(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나노 분야에 투자가 활성화됐으니 미국과 비교해도 늦지 않은 출발이다. 그 덕분에
상용
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 많이 개발된 상태다. 그렇지만 나노기술이 산업화되는 속도는 무척 더디다. 최 교수는 그 이유로 ‘기업과 연구현장의 태도’를 꼽았다. 투자하면 이익을 내야하는 기업의 속성상 당장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
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박종구 나노융합2020사업단장은 나노기술이
상용
화에 성공하려면 다양한 분야가 융합해 색다른 관점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노융합2020사업단 ... 융합해 색다른 관점 제시해야 ② 완성도-신규성-원천성 만족하는 기술 개발 ③ 원천기술을
상용
화로 이끄는 별도의 플랫폼 필요 ... ...
세상을 바꾸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기술_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반도체 시대’가 열렸다. 이와 함께 인텔, 삼성 등의 기업들은 최신 반도체를 속속
상용
화하며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들 기업들이 생산해 낸 반도체로 다양한 응용기술과 제품이 개발되었으며 사람들의 생활도 빠르게 변화했다. 그러나 최근 반도체기술 발전은 눈에 띄게 ... ...
원자력硏, 전자빔 이용 나노입자 제조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방사선의 일종인 전자빔을 이용해서 현재
상용
화된 화학적 나노입자 제조 공정보다 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으로 나노입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치가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정연호) 이병철 박사 팀이 미래창조과학부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한국이동통신(현 SK텔레콤)이
상용
화하는 데 성공한다. 한편 퀄컴은 한국이동통신이
상용
화를 위해 시행착오를 거치는 동안 이미 다음 수순을 준비하고 있었다. 기술이 완성된 마당에 CDMA시장 확대를 더 이상 미루고 싶지는 않았던 것이다. 퀄컴은 TDMA 진영을 피해 중국과 일본 등 신흥 시장을 노리는 ...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1.28
생산하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자연살해세포를 이용해 암을 치료하는 기술도 수년 내
상용
화를 앞두고 있다. 이처럼 전문연구소에서는 기초과학과 응용이라는 2분법을 벗어나 국내외 대학, 기업과 함께 기초 연계형 연구로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니라 ‘바이오경제’에 실질적으로 ... ...
바이오 산업이 지구온난화-급등하는 기름값의 해법
동아사이언스
l
2011.09.27
말했다. 양지원 단장의 ‘이것만은 꼭!’ △바이오 분야의 핵심은 기초원천기술. 최종
상용
화를 위해 기업 참여는 필수 △환경과 경제가 동행할 수 있는 연구분야를 개척해야 양지원 단장은 - 1973년 서울대 화학공학 학사 - 1980년 미국 톨레도대 화학공학 석사 - 1985년 미국 노스웨스턴대 화학공학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수준을 평가해달라는 주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고 위원장은 “우리나라가 그동안
상용
화 연구에 집중하다보니 원천 창의연구가 약하고, 국가경쟁력에 직접 도움이 되는 특허도 양적으로는 괜찮아 보이지만 질적으로는 상당히 미흡하다”고 꼬집었다. 이 같은 문제는 연구자들의 지식재산에 대한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해석하는 기초연구는 논문을 발표하기 쉬워요. 하지만 특허를 받고 실생활에
상용
화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상품화에 중점을 둔 실용연구 분야는 이와 반대지요. 인프라 구축 연구는 기초와 실용 연구의 기반을 닦는 일이지만 특허 출원과 논문 발표 모두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이런 문제를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미국 연구기관과 교류·협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또 연구결과가
상용
화로 이어지도록 도와주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강조했다. 그는 “관련 전문지식이 있어도 연구개발을 어떻게 해야 하고, 과제나 지식재산권은 어떻게 관리하는지 몰라서 힘들어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며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