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령"(으)로 총 6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07
- 1, 2, 3과 같이 쉬운 수도 있지만, 공부할수록 해석하기 어려운 수들이 점점 많아진다. 가령 음수만 하더라도 처음 배울 때는 조금 까다롭다. 그것은 수를 ‘양’으로만 해석하려고 고집했을 때 만 나는 어려움이다. 수를 ‘방향’과 결합해서 생각하기 시작하면 이러한 어려움은 금방 해결된다. 어떤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06
- 원리가 물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상황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예가 여럿 있다. 가령 복소수 체계는 대수방정식 x²+1=0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16세기에 발견됐다. 하지만, 복소수의 기하학이 양자역학의 기본 상태공간뿐 아니라 우주 자체의 모양을 결정하는 과정에서도 중요하다는 것이 현대 끈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06
- 변형도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로 변형도)/(세로 변형도)’로 정의한다. 가령 네모난 찰흙을 위아래로 누르면 세로는 줄어들고 가로는 늘어나기 때문에 푸아송 비는 보통 양수다. 재료가 음의 푸아송 비를 가지려면 가로 세로가 동시에 늘어나거나 줄어야 한다. “이 개념에 주목한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06
- 경우 같은 종 안에서도 개체별로 색각이 제각각이라는 사실도 알게 됐지요. 가령 엄마는 3원색을 보는데 아들은 두 가지 색만 볼 줄 알았던 거예요. 물론 예외도 발견됐습니다. ‘짖는원숭이’는 개체별 차이 없이 모두 3원색을 구분할 수 있었고, ‘밤원숭이’는 모든 개체가 3원색을 볼 수 ...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과학동아 l201405
- 고강도 섬유로 만든 에어암은 임무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강도로 바뀔 수 있다. 가령 사람에게 접근할 때는 공기를 빼서 푹신하게 만드는 것이다.이 외에도 몸 안에 색소를 공급해 카멜레온처럼 색깔을 바꾸거나, 뜨겁거나 차가운 물을 흘려 보내 적외선 탐지기를 피하는 ‘소프트 위장로봇’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의 본질수학동아 l201405
- 같이 무척 간단하다. 이 때문에 긴 반도체열도 자연스럽게 확장된다.N+N=N, N+C=C, C+C=N가령 CCC+CNC를 계산하면 각 자리를 따로 더해서 NCN을 얻는다. 수의 덧셈보다 훨씬 쉽다. 그런데 곱셈은 꽤 복잡하다. 표를 보면 (CCN)¹=CCN, (CCN)²=NCN, (CCN)³=CCC, (CCN)⁴=CNN…과 같이 나온다. NNN ...
- 35.9% 지지율로 서울시장?과학동아 l201405
- 바뀌지 않는 성질로, 앞서 소개한 네 가지 선거법 모두 이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가령 투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쌍대비교법을 적용하면, 원래 당선자는 A인데 후보 D가 중간에 사퇴할 경우 당선자는 B로 바뀐다.결국 네 선거법을 네 가지 평가 기준에 따라 정리하면, 쌍대비교법은 세 기준에서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04
- 여유분의 유전자는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도, 전혀 다른 기능으로 진화하기도 한다. 가령, 버스를 운전할 수 있는 사람이 갑자기 두 명이 된다면, 두 운전사가 번갈아 운전할 수도 있고, 운전을 하지 않는 운전사는 버스를 떠날 수도 있고, 또는 새로운 임무인 청소를 담당할 수도 있다.마찬가지로 ... ...
-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404
- 구라고 가정한다면, 지구 표면에서 두 지점을 잇는 가장 짧은 선은 직선이 아닌 호다. 가령 서울과 LA 사이의 최단 경로를 평면지도에 그리면 직선이 아니라는 얘기다. 이처럼 공간에서 두 점을 잇는 가장 짧은 선을 ‘측지선’이라고 하는데,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측지선은 두 점을 잇는 직선이고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미학수학동아 l201404
- 다음 소수는 47326913으로 간격이 무려 220이나 된다.물론 평균보다 훨씬 작은 간격도 많다. 가령 11309117과 11309119나, 15484457과 15484459처럼 그 간격이 2인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이렇게 그 간격이 2인 소수 쌍을 ‘쌍둥이 소수’라고 한다.쌍둥이 소수 가설은 ‘쌍둥이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것이다.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