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사고고학
선사
d라이브러리
"
고고학
"(으)로 총 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11
나갈까 말까 꾸물대고 있던 때다. 현생인류가 개를 집안에서 키우기 시작했다는
고고학
적 증거는 약 3만 년에서 7000년전 사이에 나타난다. 개는 늑대에서 갈라져 나온 이후로도 10만 년 이상을 야생에서 살았다는 뜻이다. 이런 개가 어떻게 인류의 친구가 됐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가장 가깝고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11
현생인류가 세계 각지에서 각각 진화했다는 ‘다지역연계론’을 주장해온 인류학과
고고학
계는 발칵 뒤집혔다.한중일 ‘같이 또 따로’“연구의 의의요? 사람들은 사실상 하나의 인류라는 사실을 알게 된 거죠. 전 세계 인류의 유전자 중 지역별로 차이가 나는 유전자는 겨우 7.4%에 불과합니다.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06
후난성 박물관의 최대 자랑거리인 마왕퇴(馬王堆) 미라는 1972년 발굴된 후 40년 동안 세계
고고학
계에서 큰 관심을 얻고 있다.기원전 150년 부근에 사망했으니 2100년 이상을 땅속에 묻혀 있던 셈이다. 마왕퇴는 창사시 근처에 있는 유적지 이름으로 서한 초기 ‘창사국’의 재상이던 리캉(利倉)의 ... ...
모나리자 미소 비밀 풀릴까
과학동아
l
201106
발견돼 과학계, 미술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5월 20일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고고학
자들은 그의 유해가 묻힌 이탈리아 피렌체 성우르술라 수도원지하에서 여성의 것으로 보이는 두개골과 갈비뼈 등을 발굴했다. 유골이 리자의 것으로 밝혀지면 골격과 DNA 기법을 통해 그녀의 얼굴을 가상으로 ...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
과학동아
l
201106
반복하다가 장례를 마친 후 회곽묘에 넣어 매장하면서부터 차츰 미라로 바뀌었다. [세계
고고학
계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마왕퇴’ 미라(왼쪽). 중국 30대 여성의 모습으로 복원했다. 중국 후난성 박물관에 전시 중이다.]공기차단 _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미라가 만들어지는 원인 중 하나는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
과학동아
l
201104
분야가 낙후돼 있다. 미국의 경우 매장시체가 발견되면 발굴 전문가가 출동해
고고학
자가 유적지를 발굴하듯이 시신과 증거물을 발굴한다. 그러나 한국은 ‘빨리빨리’ 일을 처리해야 하는 관행에 밀려 아직 이런 체계적인 발굴기법이 발을 못 붙이고 있다. 또 미세증거물과 혈흔형태 분석은 200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03
한편 현생인류가 전 세계로 확산되는 경로 역시 완전대체론과 다지역연계론, 고인류학과
고고학
계 사이에서 논란이 많다. 이들을 한눈에 정리해 봤다.호모 사피엔스는 언제 어떻게 태어났을까. 이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기원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두 가지 대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는 ... ...
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1103
않았던 동아시아와 아메리카대륙에서는 더욱 무관심했다. 하지만 최근의 분자유전학과
고고학
연구 결과 드러난 네안데르탈인의 모습은 다시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이들은 생각보다 우리와 가깝고 비슷하며, 심지어 조상일 가능성도 있다. 한국인도 예외는 아니다.[네안데르탈인(Homo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03
일부는 북쪽으로 이동한 뒤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유럽으로 향했다고 보고 있다(
고고학
자들은 조금 다른 이동 경로를 제시하고 있다. 이동 경로와 논쟁점에 대해서는 파트 2 참조). 따라서 아시아와 유럽으로 퍼지기 직전 중동 지역에서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 사이에 ‘혼혈’이 일어났고, ... ...
한국에 ‘쥐라기 공원’ 새로 생길까?
과학동아
l
201102
8일 밝혔다.지질공원(Geopark)이란 지질학적 공원(Geological park)이라는 뜻으로 지질 다양성과
고고학
, 역사, 문화적 가치를 중시한다. 희귀한 자연적 특성과 지구과학적 가치를 갖춘 특정 지역의 지질이나 지형을 갖춘 지역이 후보로 꼽힌다. 정부는 새로 선정될 지질공원을 ‘국립공원’에 준해 관리할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