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대기
지팡이
장대
지팡막대
스틱
지팽이
회초리
d라이브러리
"
막대
"(으)로 총 57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
수학동아
l
201510
쏟아 붓다 보면 상자마다 구슬이 들어갈 확률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구슬이
막대
에 부딪혀서 왼쪽으로 굴러 내려갈 확률과 오른쪽으로 굴러 내려갈 확률이 다르다면 상자마다 구슬이 쌓이는 개수도 달라질 것이다.“이 퍼즐은 한번 스스로 풀어보세요~!”선생님의 말에 두 독자기자는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
수학동아
l
201510
순간마다 그 방향으로 손바닥을 움직여야겠죠. 드론도 균형만 잘 유지한다면 긴
막대
나 액체가 든 와인잔을 쓰러뜨리지 않으면서 비행할 수 있습니다.먼저 시간에 따라 드론에 작용하는 힘과 드론의 자세·위치변화 사이의 관계를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바람이 불 때 드론이 어떤 방향으로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9
전선이 둘둘 말려있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십(+)자 형태로 놓여 있는 구조였다. 두 개의
막대
를 이용한 방식이라고 해서 ‘다이폴코일 공진방식’이라고 부른다. 실제로 무선충전되는 것을 확인하고 싶다고 요청하자 임 교수가 코일 위로 검고 평평한 뚜껑을 씌웠다. 무선충전테이블이 만들어진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08
위 그림처럼 실험해 보면 이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지요. 사각형이나 오각형은
막대
의 연결 부분 중 한 곳에 힘을 가하면 쉽게 그 모양이 변해요. 하지만 삼각형은 어떤 곳에 힘을 가해도 모양이 결코 바뀌지 않는답니다.수학으로 입체를 디자인하다어울림 광장의 이곳저곳을 걸어 다니면서 건물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08
찾은 곳은 대마젤란은하다. 은하의 중앙에
막대
구조가 있는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막대
나선은하였는데, 우리은하와 소마젤란은하의 중력 때문에 모양이 불규칙하게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망원경으로 자세히 들여다 봤다. 16만 광년 거리에 있다는 사실이 무색할 만큼 성운, 성단이 아름답게 보였다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7
켜켜이 쌓이고 굳어서 암석이 된 뒤, 측면의 압력에 의해 뒤집힌 지층이다. 꼭 대리석
막대
처럼 생겼다고 해서 마블바라고 부르는데 마치 소고기 마블링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런 지층이 100km 이상 길게 이어져 있다. 필바라의 암석 중에는 35억 년 전 편평하게 쌓인 현무암이 오랜 기간 사방에서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
수학동아
l
201507
막대
로 만든 반구 형태의 돔이다. 지오데식 돔을 만드는 과정은 일정한 규칙을 따라
막대
를 연결하는 퍼즐 활동과 같다. 이를 위해 파이 부원들은 사전에 모여 지오데식 돔에 대해 탐구했다. 각진 돔부터 구면에 가까운 매끄러운 돔까지 단계별로 만들어 보면서 체험 행사에 가장 적합한 수준을 ... ...
[재미] 춤추는 무게 중심
수학동아
l
201506
거리다. 이 방정식은 x=2, y=1일 때 성립한다. 즉,
막대
의 무게 중심은 물체 1로부터
막대
전체 길이의 2/3만큼 떨어진 지점이다. 춤추는 무게 중심주의 중심을 구할 때는 무대 넓이나 무용수의 몸무게 대신 새로운 무게를 적용한다. 안무가는 ‘안무가 얼마나 화려한지’, ‘동작이 얼마나 빠르게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
수학동아
l
201506
말한다. 즉 티라노사우루스의 다리는 엉덩이 관절을 축으로 삼아 일정하게 회전하는 긴
막대
로 볼 수 있다.진자가 진동하는 공식을 이용하면 티라노사우루스가 발을 움직이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공식에 수치를 넣으면 발자국 화석을 남긴 티라노사우루스가 초속 1.41m, 즉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
과학동아
l
201505
조금씩 계속 변한다. 사람의 혈액 온도를 기준으로 삼는 건 밤낮으로 길이가 달라지는
막대
로 1m의 길이를 정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수많은 실험과 토론을 거쳐 두 가지 기준이 세워졌다.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는 온도단위인 섭씨온도(℃)와 국제 표준 단위인 절대온도 켈빈(K)이다.섭씨온도는 물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