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매개"(으)로 총 4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과학동아 l201407
- 앞서 말한 파도, 지진, 조석력 등이 바닷물에 힘을 가하면 그 때부터 물은 힘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이용된다. 실 전화기가 실을 통해 소리 파동을 상대방 쪽으로 전달하는 것과 비슷하다. 소리를 전달할 때 실이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파도 역시 물이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해수욕장에서 튜브를 ... ...
- 이보다 수학을 사랑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07
- 애정을 주고, 루트는 그런 박사에게 아버지의 정을 느낀다.수학 이외에 박사와 루트를 매개해주는 것은 야구다. 두 사람 모두 한신 타이거스의 열혈팬인데, 물론 박사의 기억은 사고가 발생한 1975년에서 멈췄기 때문에 박사와 루트가 생각하는 팀은 다르다. 박사의 기억에 저장돼 있는 야구 선수들은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06
- 세포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반드 시 액체 상태의 매개체가 있어야 한다.액체 상태의 매개체로는 지구처럼 물이 가장 좋다. 물 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우주에 흔하게 존재하며, 극성을 가 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화학 결합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타이탄처럼 ... ...
- Part 2. 상상 속 건물을 마음대로 짓는 비밀, 파라메트릭 디자인과학동아 l201405
- 할까. 파라메트릭 디자인이라면 거뜬하다. 처음부터 평면과 곡면 패널의 개수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뒤 수학 방정식을 풀듯이 곡면 패널의 개수가 최소값이 되는 설계도를 구한다. 전체 4만5133장 중에서 실제로 곡면인 패널은 3만1292장이다.2011년에 두바이에서 완공된 O-14 타워(O-14 Tower)의 외피 패턴은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05
- 디자인이라는 설계 방법 덕분이다(2파트 참조). 파라메트릭 디자인은 수학의 함수식처럼 매개변수만 조절하면서 다양한 건물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기법이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경우, 먼저 파라메트릭 디자인으로 외벽의 설계도를 그렸다. 이 설계도를 다점성형기술 장비가 인식하는 데이터로 ... ...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과학동아 l201404
- 그 중에서도 인간은 꽃의 유혹에 가장 약한 번식 매개체일 것이다. 곤충이나 바람 등의 매개가 미처 하지 못하는 일을 인간이 하고 있다. 물론 인간 역시 식물에게서 식량부터 의류, 약 등 다양한 것들을 얻어냈다. 이런 것들을 넘어 식물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특징을 발견했다. 엄청난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04
- 긴 혀를 가진 거대한 박각시나방이 발견됐다고 한다.우리의 가장 충실한 꽃가루 매개 곤충인 벌은 약 1억2000만 년 전 남미와 호주에서 나타났다. 인간이 사는 2014년에는 1만6000종 이상이란다. 벌이 잘나서가 아니다. 다 우리가 꽃잎 주고 꿀 줘가며 키운 덕분이다. 물론 우리 꽃도 덕을 많이 보고 있다. ...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01
- 가까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이 수학처럼 이해관계를 초월한 보편적 원칙으로 매개되는 것만은 물론 아니다. 마케도니아 제국의 자취들이 아직도 남아 있는 중동 지역을 지나 보면, 국경과 분쟁이라는 정치적 신기루를 넘어서서 경제와 문화 교류가 하루가 다르게 심화되고 있음을 느낄 수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01
- 명백히 현실세계와 맞지 않는다. 전자도 작기는 하지만 질량을 갖고 있다. 약한 핵력을 매개하는 W와 Z입자가 만약 질량이 없다면, 검출하는 데 높은 에너지와 기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진작에 검출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20세기 후반에야 검출할 수 있었으며, 예상대로 질량을 ...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19
- 폭발시킬 수 있고, 이게 뭘까? 하고 탐구하고 싶은 질문이 스스로 생기게 하는 좋은 매개체라고 생각합니다.한국 만화 처음부터 지금까지 파티~!때 마침 잘 왔어! 지금 막 ‘어린이과학동아’ 생일 케이크에 불을 끄려고 하고 있었거든. 우리나라 최초의 만화부터 엄마가 좋아했던 만화, 그리고 지금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