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불합리
부조화
부조리
자가당착
무논리
비논리성
d라이브러리
"
모순
"(으)로 총 364건 검색되었습니다.
명문대 남녀 합격생의 반전
과학동아
l
201307
‘부분’에서 성립한 대소 관계가 그 부분들을 모은 ‘전체’에 대해서는 성립하지 않는
모순
적인 경우를 말한다. 심슨의 패러독스는 1951년 이 현상을 설명한 에드워드 심슨의 이름을 따서 만든 용어로 ‘합병 패러독스’라고도 한다.심슨의 패러독스는 1973년 미국의 명문대인 UC버클리 대학원에 ... ...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306
거짓인지 판단하는 분석철학을 창시한 것이다. 수학의 기초 원리를 연구하며 집합론에
모순
이 있다는 것을 밝힌 ‘러셀의 패러독스’를 발견한 것도 큰 공으로 꼽힌다. 또 1+1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것으로 유명하다.로랑 슈와르츠(1915~2002)슈와르츠는 연속된 모든 함수는 미분이 가능하다는 것을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1305
초기에 급속도로 커졌기 때문에 현재 처음의 균일한 상태를 간직하더라도 논리적으로
모순
이 없게 된 것이다.태초에 지문이 있었다.그런데 더 중요한 사실이 있었다. 전 우주에 걸쳐 균일한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에 아주 미세한 ‘얼룩’ 같은 온도 차이가 있을 거라는 예상이 이론에 의해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1
따뜻하면 눈이 아니라 비가 내려야 되는데, 국제연합은 왜 폭설이 내린다고 경고했을까?
모순
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원리를 알면 간단하다. 지구온난화로 북극해를 덮고 있는 얼음이 녹으면 대기 중에 수분이 많아져서 북극 주변 대륙에 눈이 많이 내린다. 눈이 많이 쌓이면 태양에너지를 ... ...
INTRO. NEO DNA
과학동아
l
201301
유전체 전체를 해독하려 한 인간게놈프로젝트로 정점에 달했다.하지만 정점에 달하면
모순
도 커진다고 했던가.역설적으로 인류는 인간게놈프로젝트에서 DNA의 한계를 봤다.인간이 지닌 유전자는 고작 2만 5000개. 복잡한 생명현상을 일으키기에는 터무니없이 적은 수다.더구나 전체 DNA의 거의 ... ...
내 몸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212
신체적으로 빠르게 성숙하며 남들의 시선에 가장 민감하면서도 가장 신경 쓰지 않는
모순
적인 모습을 보인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세상에서 본인이 가장 옳고 멋지다고 생각하는 반면 한쪽으로는 ‘보잘것없는 나를 알아주지도 않는 더러운 세상!’ 같은 대사를 내뱉는다.나중에 되돌아 보면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11
100년 동안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켜 왔다. 논란의 핵심은 양자적인 입자가
모순
되는 서로 다른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는 ‘중첩 현상’이다. 중첩 현상은 동전 하나를 던져 앞면과 뒷면이 동시에 나오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 이런 기묘한 중첩현상은 때론 획기적인 물리상태를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과학동아
l
201210
필요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동물은 폐경기 이후 인간 여성처럼 오래 살지 않습니다.이런
모순
을 해결하고자 인류학자들은 가설을 세웠습니다. 바로 “노인들이 간접적으로 자손 번식에 도움을 준다”는 ‘할머니 가설’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할머니들은 직접 자손을 낳지는 않지만 손주들을 ...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
과학동아
l
201208
광자와 글루온을 제외하면 모든 입자가 질량을 가지고 있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
모순
을 해결할 수 있을까.질량 메커니즘 1 자발적으로 깨지는 대칭성이 문제를 풀 실마리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자석 안에 있었다. 자석은 철, 니켈, 크롬과 같이 전이금속이라고 불리는 원소들로 이뤄져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207
안 됩니다. 반대로 면도하지 않는다면, 이발사가 면도해 주는 대상에 포함되기 때문에
모순
이 생기지요.19세기 말 경, 전 수학의 기초인 논리학과 집합론에 이런 역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충격에 빠진 적이 있습니다. 다른 수학자들 역시 역설이 수학의 기초를 혼란스럽게 한다고 해서 많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