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통
d라이브러리
"
물탱크
"(으)로 총 69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중에 솟은 정원
과학동아
l
200012
물을 펌프로 길어 올렸다는 것. 체인에 물통을 연속적으로 매달아 상부로 물을 올린 다음
물탱크
에 저장했다가 필요한 곳에 물을 흘려주거나 물뿌리개를 이용해 물을 공급했다는 매우 단순한 방법이다. 두번째 방법은 디오도르와 스트라본이 기록한 것으로 아르키메데스가 고안한 수력기계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10
건물 설계부터 고심해온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타원형 지붕으로 떨어지는 빗물은 4곳의
물탱크
로 모아지는데 바로 이 물을 모아 그라운드의 잔디를 키우고 식당이나 화장실 등을 청소하는 것이다. 관중들이 입장하는 데도 에너지 낭비를 줄이기 위해 자연통풍이 가능한 경기장 외곽의 별도 통로가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① 과학시간에 SF영화를 보자!
과학동아
l
200005
말할 수 있다. 아마겟돈에서는 석유시추공 전문가들이 우주선에 승선하기 전에 거대한
물탱크
속에서 무중력 상태에 대한 적응 훈련을 받는다. 왜 이러한 수중 훈련이 필요하며 어떤 측면에서 이것이 무중력 상태가 유사한지를 중력과 부력 등의 개념을 사용해 설명한다.4 영화에서 비과학적으로 ... ...
삶의 소우주 화장실과 욕실
과학동아
l
199801
볼일을 보고 산물을 미련없이 버리는
물탱크
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것일까. 화장실
물탱크
는 대개 사이펀관에 의해 작동된다. 언뜻 생각하기에는 불가능할 것 같지만 사이펀관은 압력 차를 이용해 물을 위쪽으로 흐르게 한다.사이펀관이 물 표면보다 아래에 있으면 수면에 작용하는 대기압으로 ... ...
뉴허블 통신
과학동아
l
199707
다른 5명의 우주비행사들에게도 객차 크기만한 인공위성은 전혀 낯설지가 않다. 비록
물탱크
속이었지만, 실제와 똑같이 꾸민 상황에서 수없이 훈련을 반복했기 때문이다.7명의 승무원은 11일에 걸쳐 허블우주망원경으로부터 긴 상자모양의 ‘중고부품’ 2개를 떼어내고 새로운 장비를 달았다. ... ...
타이태닉호 침몰 그 이후
과학동아
l
199610
- 899명*총톤수 · 순톤수선박의 외피를 이루는 전체용적이 총톤수이고, 여기서 선원실,
물탱크
등 선박의 운항에 사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실제 영업에 이용되는 부분의 용적을 순톤수라 한다. 타이태닉호와 그 형제들1907년 영국의 선박회사 화이트 스타는 올림픽, 타이태닉, 그리고 브리태닉이라 ... ...
좋은 정수기 고르는 요령
과학동아
l
199510
휘발성 물질이 날아간다. 염소 냄새가 없어져 불쾌감도 사라진다. 낡은 급수관이나
물탱크
에서 나오는 녹과 같은 작은 입자들은 가라않게 되므로 맑은 물을 먹을 수 있다.우리 나라의 먹는 물은 대부분 세균에 의한 오염과 휘발성 유기물질에 의한 오염이 주류를 이룬다. 그래서 중금속 오염 지역이 ... ...
열대어 '몰리'의 기묘한 암컷 유인작전
과학동아
l
199411
이렇게 만들어진
물탱크
의 양끝은 두마리의 수컷이 들어갈 장소다. 가운데 각 양끝
물탱크
의 3배에 해당하는 수족관의 중심구역은 바닥과 옆면에 유성펜을 사용하여 다시 3부분으로 구분되었다. 암컷은 이 중심지역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질투가 매력이 된다?일단 두 마리의 수컷을 위한 양끝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
과학동아
l
199403
용기에 모이게 된다. 이 물은 파이프를 통해 몇차례 여과를 거치면서 6백m 아래에 있는
물탱크
에 저장된 뒤 살균되어 춘근고마을의 사람들에게 보내지는 것이다.놀라운 것은 이 장치로 모인 물의 양인데, 연간 평균 채취수량이 하루 1만5백80L에 이른다. 수도설비를 한 각 가정에 매일 1백20L의 물이 ... ...
물리- 전하량은 항상 보존된다
과학동아
l
199309
것처럼 큰 물은 댐이나 수원지에서 보내지며 작은 규모의 물은 각각의 건물 옥상에 있는
물탱크
에서 보내진다.우리가 쓰는 물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수도를 통해서 강으로 돌아가며 햇빛에 의해 증발되어 구름이 되고 다시 댐으로 들어가 순환하게 되어 전체 물의 양은 항상 보존된다.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